기술보증기금(기보)은 채무자의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 5월 26일까지 한시적으로 '재기 지원 활성화 캠페인'을 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상환능력이 부족한 상각 채권 채무자를 대상으로 한다. 캠페인은 채무감면 범위 확대, 현가 상환 우대율 확대 등 완화 조치를 통해 채무자 상환 부담을 줄이고 조기 변제를 유도해 신용 회복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각 채권이란 금융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 중 채무자의 상환능력이 없거나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회계상 손실 처리한 채권을 말한다. 기보는 캠페인 기간 채무 분할상환 약정을 체결하는 채무자에게 채권평가, 채무자의 상환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추가 감면율을 적용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BNK부산은행은 28일 은행 본점에서 직장인 생활양식 플랫폼 운영사인 베러먼데이와 '콘텐츠 경쟁력 강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부산은행은 모바일뱅킹 생활금융 플랫폼을 통해 베러먼데이 주요 사업인 '베러먼데이클럽' 서비스를 6월 중 오픈할 예정이다. '라이프먼데이클럽'은 직장인의 즐거운 일상을 응원하기 위해 수제 맥주, 재즈, 로스팅, 플로깅 등 다양한 주제로 학습, 모임 등을 제공한다. /연합뉴스
'실거주 의무 폐지' 첫 국회 심사 이후 시행 주택·분양권 전매제한 완화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일주일 뒤로 밀렸다. 정부는 '패키지' 격인 실거주 의무 폐지 법안의 국회 심사 이후 전매제한 완화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열린 국무회의에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를 골자로 한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이 상정되지 않았다. 당초 국토부는 국무회의를 거쳐 이달 안으로 개정안을 공포·시행한다는 계획이었으나, 국무회의 상정이 다음 달 4일로 일주일 미뤄졌다. 전매제한 완화 시행이 미뤄진 것은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부과한 2∼5년의 실거주 의무를 전면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이 첫 국회 심사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계류돼 있던 이 법안은 오는 30일 열리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토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첫 심의를 받는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매제한 완화는 실거주 의무 폐지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먼저 국회에서 추가적인 논의·협의를 거친 후 시행하는 게 낫겠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매제한 완화는 다음 주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수도권에서 최대 10년인 전매제한 기간이 최대 3년으로 대폭 줄어든다. 전매제한이 수도권 공공택지(분양가 상한제 적용) 및 규제지역은 3년, 서울 전역이 포함되는 과밀억제권역은 1년, 그 외 지역은 6개월로 완화된다. 비수도권 공공택지(분양가 상한제 적용)는 1년, 광역시 도시지역은 6개월로 완화하고 그 외 지역은 폐지된다. 시행령 개정 이전 이미 분양을 마친 아파트에도 소급 적용된다. 규제지역인 서울 강남 3구와 용산에서 아파트를 분양받더라도 3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