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서민 연료’로 꼽히는 액화석유가스(LPG) 국제 가격이 최근 한 달 새 33.9% 폭등했다.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상승에 따른 난방비 부담 증가에 이어 LPG 가격 급등으로 자영업자와 택시업계 등의 부담이 한층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일 LPG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인 아람코는 이달 프로판과 부탄 국제 가격(CP)을 t당 790달러로 책정했다. 프로판 기준으로 전월(590달러) 대비 200달러(33.9%) 인상했다. 월 기준으로 최근 10년간 역대 최대 상승폭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에 한파가 찾아온 데다 중국 석유화학 업황이 회복하면서 LPG 수요가 늘자 아람코가 이례적으로 가격을 대폭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국내 양대 LPG 유통사인 SK가스와 E1은 아람코가 책정한 CP를 기준으로 국내 공급가격을 산정한다. 중동에서 한국까지 운송 시간을 고려하면 CP와 국내 공급가격은 한 달가량 시차가 있다. 이달 CP가 t당 200달러 오르면 다음달 국내 공급가격은 ㎏당 230~250원가량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SK가스와 E1의 이달 LPG 공급가격(부탄 기준)은 각각 ㎏당 1541.68원, 1542.68원이다. 공급가격을 결정하는 또 다른 변수인 원·달러 환율이 작년 말부터 하락(원화 가치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다음달 큰 폭의 LPG 공급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내 LPG 공급가격이 오르는 것은 작년 4월 이후 11개월 만이다. 그동안 아람코 CP가 낮아지면서 이에 연동하는 국내 가격도 하향 추세를 보여왔다.
국내 LPG 가격은 지난해 4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10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작년 4월 ㎏당 1850.38원과 1851.38원에 달한 프로판과 부탄 가격은 이달 기준 300원가량 하락했다. 이랬던 LPG 가격이 한 달 새 200원가량 오르면 LPG를 주로 사용하는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택시업계 등은 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더욱이 LPG는 대표적인 서민 연료라는 인식이 강하다. 휘발유, 경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등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LPG는 프로판과 부탄으로 나뉜다. 프로판은 LNG 배관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가정·상업용 및 산업용 연료로 활용된다. 부탄은 택시 및 1t 트럭 등의 수송용 연료로 쓰인다.
이렇다보니 SK가스와 E1이 국내 LPG 시장을 양분하고 있지만, 여론과 정부를 의식해 가격을 쉽게 조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매일 가격이 바뀌는 휘발유·경유와 달리 LPG는 한 달에 한 번 기준가격이 정해진다. 국제 가격이 가파르게 올라 인상 요인이 충분해도 소비자 부담 등을 의식해 가격을 섣불리 올리지 못한 경우도 많다.
정부는 LPG 공급가격은 민간 사업자들이 결정할 문제로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LPG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를 때마다 업계와의 긴급 간담회를 통해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다. 더욱이 도시가스 요금 급등에 따른 난방비 부담으로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LPG 가격까지 급등하면 정부가 지켜볼 수만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SK가스와 E1 측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두 회사 관계자는 “국제 가격 급등으로 큰 폭의 가격 인상 요인이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소비자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다음달 공급가격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성과급 시즌’이 도래하면서 직장인들이 술렁이고 있다. 많게는 월 기본급의 1500%를 성과급으로 주는 기업이 있는 반면 성과급을 꿈도 못 꾸는 회사도 적잖다. 다른 회사 대비 적거나 기대치를 밑도는 성과급을 놓고 직장인의 푸념도 늘고 있다.27일 업계에 따르면 LS그룹의 액화석유가스(LPG) 유통계열사인 E1은 작년 말 기본급의 1500%를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괄목할 만한 실적을 올렸기 때문이다. 이 회사의 작년 영업이익은 2008년(3319억원) 이후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추정된다.정유업체인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는 1000%의 성과급을 지급할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도 1000% 안팎으로 예상된다. 에쓰오일도 비슷한 수준으로 준비 중이다. 1000%는 통상 연봉의 절반 수준이다. 지난해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두면서 작년 초(600% 안팎)에 비해 큰 폭으로 불어났다.반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대비 쪼그라든 성과급(초과이익성과급·OPI)을 줄 예정이다. 이 회사 반도체부문(DS)은 연봉의 50%, 모바일부문(MX)은 37%, 네트워크사업부는 27%, 생활가전 부문은 7%를 성과급으로 제시했다. 지난해 DS·MX 부문이 연봉 50%, 생활가전 부문이 36%를 받은 것과 비교하면 대체로 낮아졌다.자동차업계 성과급은 예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성과급으로 각각 1950만원, 2060만원을 지급했다. 한화솔루션의 케미칼부문과 큐셀부문도 각각 700%, 408%의 성과급을 줬다. 금호석유화학(400%) 금호폴리켐(600%)을 비롯해 한솔케미칼(700%) 국도화학(500%) 애경케미칼(400%) OCI(330%) 등 중견 화학업체도 300%를 웃도는 성과급을 지급했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는 종합상사 현대코퍼레이션도 600~700%대의 성과급을 줄 예정이다.하지만 작년 영업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 롯데케미칼·여천NCC·대한유화는 성과급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업계 사정도 비슷하다. 적자를 낸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직원들은 성과급이 언감생심이다. 다만 HD현대그룹(옛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인 한국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직원들은 170%를 성과급으로 받았다.철강업체 임직원들은 예년 수준의 성과급을 수령했다. 현대제철은 기본급 300%에 1300만원을 얹어 성과급을 지급했다. 고려아연 성과급은 600% 수준이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사상 처음 1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되는 HMM은 기본급 대비 600%에 달하는 성과급을 지급했다.한 기업 관계자는 “작년에 비해 성과급은 늘었지만 업종에 따라 차이가 컸다”며 “상대적으로 적게 받은 직원들은 불만을 가지는 사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성과급 얼마나 나왔나요. 공개해봅시다."'성과급 시즌'이 도래하면서 직장인들의 호기심이 부쩍 늘었다. 각종 커뮤니티에는 각 업체의 성과급이 공개되면서 논쟁도 불붙고 있다. 기본급 대비 많게는 1500%까지 성과급을 주는 기업도 있다. 하지만 성과급이 아예 나오지 않은 회사도 적잖다. 타사 대비 적거나 기대치를 밑도는 성과급을 놓고 직장인들의 불평과 하소연도 늘었다.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S그룹 계열사로 국내 대표 액화석유가스(LPG) 유통업체인 E1은 2022년 성과급으로 기본급 대비 1500%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 성과급은 지난해 말 지급됐다.이 회사는 지난해 3분기 누적 194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LPG를 들여와 절반가량을 수출하는 이 회사는 LPG 제품 수출 가격 등이 고공행진하면서 실적이 큰 폭 늘었다. 작년 이 회사 영업이익은 2008년(3319억원) 후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가스업체는 물론 정유업체 성과급도 1000%대 수준에서 형성됐다. GS칼텍스(1000%) 현대오일뱅크(1000%)가 1000%대를 지급할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1000% 안팎으로 관측됐다. 1000%는 통상 연봉의 50% 수준이다.삼성전자의 경우도 다음달께 성과급 지급에 나설 예정이다. 이 회사는 메모리 부문이 연봉의 47~50%, 무선 부문은 연봉의 29~33%, 가전 부문은 연봉의 5~7%로 추산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성과급으로 각각 1950만원, 206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석유화학업체들은 이보다 낮을 전망이다.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금호석유화학그룹 계열사인 금호석유화학(400%)과 금호폴리켐(600%)은 400~600% 수준이다. OCI는 330% 수준이다. 한솔케미칼(700%) 국도화학(500%) 애경케미칼(400%) 등 중견 화학업체도 높은 수준의 성과급을 받았다.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솔루션은 케미칼부문이 700%, 큐셀부문은 408%로 집계됐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것으로 추산되는 현대코퍼레이션도 600~700%대의 성과급이 예상된다. 하지만 지난해 실적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롯데케미칼 여천NCC 대한유화는 성과급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회사는 지난해 영업적자가 유력하다.지난해 실적이 저조한 조선업계의 성과급 수준도 좋지 않다. HD현대그룹 계열사인 한국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등이 170%의 성과급을 지급받을 전망이다. 하지만 다른 조선업체들은 성과급이 이를 밑돌거나 못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철강업체들은 예년 수준만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기본급 300%에 추가로 1300만원을 얹어 지급할 계획이다. 고려아연은 600% 수준이다.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HMM은 기본급 대비 600%에 달하는 성과급을 최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는 기본급 비중이 높아 성과급이 연봉의 50% 안팎으로 추산된다. HMM은 해운업계 침체로 실적이 들쭉날쭉한 2011~2019년에 9년 연속으로 임금은 동결됐다. 성과급을 받지 못하면서 회사를 등지는 젊은 직원들이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이 사상 처음 10조원을 넘는 것으로 추산되면서 성과급이 큰 폭 늘었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LS그룹의 에너지 기업인 E1은 1996년부터 28년 연속으로 임금 협상 무교섭 타결을 이뤘다고 2일 밝혔다. 이날 E1 노동조합은 시무식에서 2023년 임금에 관한 모든 사항을 회사에 위임했다.이런 노경 파트너십 구축은 구자용 회장을 비롯한 전 직원이 지속해서 소통하며 끈끈한 신뢰를 쌓아온 덕분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S그룹에서는 노사(勞使)라는 말 대신 노경(勞經)이라는 말을 쓴다. 사용자를 뜻하는 ‘사(使)’를 경영진의 ‘경(經)’으로 대체한 것이다.구 회장은 “28년 연속 임금 무교섭 위임으로 미래 지향적인 노경 관계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며 “회사를 믿고 맡겨준 노조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신뢰를 기반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자랑스러운 노경 문화를 이어 나가자”고 당부했다. 박승규 노조위원장은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회사가 경영 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위임을 결정했다”고 말했다.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