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홈 익스체인지' 중개 앱 출시 서미영 비홈 대표 할리우드 영화 '로맨틱 홀리데이'(원제 The Holiday)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영국 런던 교외에 사는 두 여주인공이 서로 집을 바꾸어 다른 환경에서 2주 동안 지내면서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얘기를 담았다. 2006년 개봉된 이 영화 때문에 일정 기간 거주 공간을 교환해 쓰는 '홈 익스체인지'(Home Exchange) 여행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실연의 상처를 달래려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 했던 두 유명 배우(캐머런 디아즈 & 케이트 윈즐릿)가 홈 익스체인지 사이트를 통해 집을 바꾸는 거래 장면을 선보인 영향이었다. ◇ 영화로 주목받은 '홈 익스체인지' 여행 홈 익스체인지는 여행에서 중요한 숙박 문제를 당사자 간의 물물교환 형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199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홈 익스체인지 중개 서비스는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퍼지다가 이 영화 덕분에 급성장기로 들어섰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지금까지 홈 익스체인지 시장이 형성되지 않았고, 이를 중개하는 전용 플랫폼도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에서 홈 익스체인지 바람을 일으키겠다고 나선 비홈(B.Home)이 눈길을 끌고 있다. 현재 전체 팀원이 3명인 비홈은 모바일 게임업체 컴투스에서 메타버스 기획자로 일하는 서미영(27) 대표가 2021년 7월 세웠다. 금융서비스 업체 뱅크샐러드에서 개발 업무를 하는 김동혁(25) 씨가 CTO(최고기술책임자)를, 프리랜서 UX(사용자경험) 컨설턴트인 김도환(27) 씨가 CPO(최고제품책임자)를 맡고 있다. 재정 상황이 어려운 스타트업 창업기 멤버들이 대체로 그런 것처럼 이들도 '투잡'을 뛰고 있다. 서 대표를 지난 20일
지난해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은 줄었지만 벤처·스타트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벤처·스타트업 고용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벤처·스타트업의 청년 고용 인원은 19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3.6%(6천800명) 늘었다. 같은 기간 신규 채용 축소 등으로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이 1.2% 줄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벤처·스타트업 3만3000개의 고용 인원은 74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8.1%(5만6000명)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고용 규모가 2.4%(34만8천명)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세 배 이상 높은 증가 폭이다. 지난해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2000개의 고용 증가율은 29.8%(1만9000명)로 전체 기업의 12배가 넘었다.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비상장사) 15개의 고용 증가율은 22.9%(1800명)였다. 고용 인원은 9천900명으로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드라마·음악 등 K-콘텐츠 인기로 영상·공연·음반 업종의 고용 증가율이 15.4%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게임(14.9%),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12.3%), 유통·서비스(10.0%) 등 순이었다. 반면 제조업 분야 고용 증가율은 5% 수준으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카카오벤처스는 디캠프와 함께 웨어러블(착용 가능) 방광 모니터링 솔류션 개발사 '메디띵스'에 브릿지 투자를 했다고 22일 밝혔다.메디띵스는 배뇨장애 환자가 배에 부착해 도뇨·배뇨를 관리할 수 있는 기기 '메디라이트'와 맞춤형 관리 플랫폼을 만든다.메디띵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기점으로 임상 연구와 해외 진출을 준비한다.내년 미국 법인을 설립하고 미국 유수 대학과 임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김아람 메디띵스 대표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 건강하고 밝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성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