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성 지원→취약층 맞춤 복지…100조 보조금 면밀 심사 약자복지·청년 일자리 및 국방·치안엔 예산 확대 정부가 내년 예산 편성 과정에서 지역사랑상품권 등 현금성 지원 사업과 불투명하게 관리되는 보조금을 집중적으로 구조조정하기로 했다. 윤석열 정부가 제시해온 건전재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것이다. 대신 약자 복지와 청년 일자리, 국방·치안 등 국가의 기본 기능은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28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4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을 의결·확정했다. 예산안 편성지침은 내년 재정운용 기조와 투자 중점, 재정혁신 방향 등을 담은 원칙이다. 각 부처가 내년 예산안 편성 때 준수해야 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므로 이 지침의 공개는 내년 예산 편성의 시작을 의미한다. 매년 예산 편성 지침 발표 시점이 3월 말이므로 이번이 윤석열 정부가 내놓는 첫 지침이다. 정부는 엄격한 재정총량 관리로 건전 재정 기조를 견지하겠다는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경제의 도약과 민생 안정을 위해 필요한 재정의 역할을 하겠다는 가치를 앞세운 문재인 정부 마지막 예산지침(2022년)과 철학 차이가 감지된다. 강조점이 재정의 역할에서 건전재정으로 이동한 것이다. 건전재정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지출을 철저히 감축하되 미래 투자와 체질 개선을 과감하게 추진해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고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재정 철학을 의미한다. 정부는 무분별한 현금성 지원사업과 부당·불투명하게 지급된 보조금, 복지사업의 도덕적 해이 등 재정 누수 요인을 철저하게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역사랑상품권과 같은 현금성 지원을 과감
비대칭 전력·마약범죄 대응에 예산 투입…부모급여 월 100만원 지급정부가 670조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예산을 국방·치안 등 국가 기본기능 강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에 중점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정부는 28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예산안 편성지침'을 확정해 발표했다.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2022∼2026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중기 재정지출 계획에서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4.8% 늘어난 699조2천억원(총지출 기준)이 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내년 예산도 올해처럼 건전재정 기조 아래 편성하기로 한 만큼, 정부는 올해 638조7천억원의 예산의 내년 증가율을 이미 제시한 중기 계획처럼 5% 미만으로 묶을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내년 예산은 670조원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내년 예산은 약자 복지,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국가의 기본기능 수행 강화에 중점을 두고 과감히 투자하겠다"고 밝혔다.'국가의 기본기능 수행 강화'는 국민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는 국방·치안·사법·행정 서비스에 대한 예산 투입을 늘리겠다는 의미다.정부는 국방 분야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맞서 비대칭 전력 대응,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등 무기체계 첨단화·고도화에 예산을 쓰기로 했다.장병 봉급 인상과 생활 여건 개선도 계속 진행한다.공공 안전 분야에서는 마약범죄 예방과 대응을 위해 수사 차량·탐지 장비 등을 확충한다.전세 사기·보이스피싱·스토킹·디지털 성범죄 대응 능력도 강화할 계획이다.신종·복합 재난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
3년간 법정 한도 준수…대기업 수혜 비중 10.9→15.5→16.7% 올해 정부가 깎아주는 국세가 7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획재정부는 28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2023년도 조세지출 기본계획'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올해 국세 감면액 전망치는 69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추정치(63조5천억원) 대비 9.1% 늘어난 수치로, 현재 전망치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국세 수입에서 국세 감면액이 차지하는 비중인 국세감면율은 13.9%로 추계됐다. 이는 국가재정법상 국세 감면 한도(직전 3년 국세감면율 평균+0.5%포인트)인 14.3%를 밑도는 수준이다. 이로써 국세감면율은 2021년부터 3년간 법정 한도를 준수할 것으로 예측됐다. 수혜자별로 보면 올해 국세 감면액 중 개인 대상 감면액이 43조3천억원으로 추산됐다. 개인 감면액 중 68.8%는 중·저소득자에게, 31.2%는 고소득자에게 돌아가는데, 고소득층 수혜 비중은 지난해 추정치(31.6%)보다 소폭 줄었다. 기업 대상 감면액은 25조4천억원으로 추계됐다. 이 가운데 66.2%는 중소기업, 3.8%는 중견기업에 각각 귀속된다. 대기업(상호출자제한기업) 수혜 비중은 16.7%로 전망됐다. 대기업의 조세지출 수혜 비중은 2021년(실적) 10.9%에서 2022년(추정) 15.5%, 2023년 16.7%(전망)로 점차 커지는 추세다. 분야별로는 근로장려세제(EITC)를 포함한 근로자 지원 지출액이 26조5천억원에 달해 가장 큰 비중(38.2%)을 차지했다. 이외 농림어업 지원(10.7%), 투자 촉진·고용 지원(9.8%), 연구개발(R&D)(7.2%) 등의 순이었다. 전체 조세지출 항목 229개 가운데 올해 일몰이 도래하는 항목은 63개로, 모두 3조4천억원 규모다. 기재부는 이 중 연간 감면액이 300억원 이상인 1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