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차익 100만원' 기준
국내 상품엔 적용 않지만
해외 주식엔 양도세 과세
부양가족으로 등록 못해
다음달까지인 올해 연말정산에서 근로자는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가 주식 투자를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어떤 종류로 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투자상품의 종류와 차익 규모에 따라 연말정산에서 부양가족 등록 여부가 갈리기 때문이다. 부양가족을 잘못 등록하면 추후 소득공제 혜택을 토해내야 하는 것은 물론 징벌 성격의 가산세도 물어야 한다.
○年소득 100만원 이하여야 부양가족
국세청이 이달 초 발표한 ‘2022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종합안내’에 따르면 대표적인 연말정산 과다 공제 유형 10개 중 5개가 ‘소득금액 기준 초과 부양가족 공제’ 등 인적 공제 관련이다. 매년 2만~3만 명의 근로자가 연말정산에서 인적 공제를 과다하게 받아 과세 당국에 적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적발되면 인적 공제 1인당 150만원의 소득공제로 받은 환급 세액을 다시 토해내야 하고, 통상 10%의 가산세도 물어야 한다.
이처럼 인적 공제의 부당 공제 사례가 많은 것은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려는 가족원에 적용되는 소득 요건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소득세법에 따르면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 60세 이상 직계존속은 각각의 소득금액이 연간 100만원 이하(필요 경비 공제 후)여야 근로자의 부양가족으로 등록될 수 있다. 소득금액이란 종합소득(근로·이자·배당·사업·연금·기타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의 연간 합계액을 의미한다. 소득이 근로소득만 있으면 총급여액이 500만원 이하일 때에 한해 부양가족 등록이 허용된다.
국내외 증권상품에 투자하는 경우는 더 복잡해진다. 투자자들에겐 소득금액 100만원의 기준이 각기 다르게 적용된다. 우선 국내 주식의 양도차익은 100만원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직업이 없는 배우자가 삼성전자 주식으로 작년에 1억원 넘게 양도차익을 냈더라도 이번 연말정산에 부양가족으로 등록될 수 있다는 의미다.
○해외주식형 ETF는 2000만원 기준
해외 주식은 다르다. 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한 경우 연간 양도차익이 100만원을 넘으면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없다. 국내 주식과 다르게 해외 주식은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는 어떨까. 국내에 상장된 ETF이기에 100만원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것일까. 아니면 해외 주식과 마찬가지로 100만원 기준이 적용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는 연간 양도차익이 2000만원 이하일 때에 한해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다.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의 양도차익은 국내에서 배당소득으로 간주돼 2000만원까지 분리과세되기 때문이다.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의 연간 양도차익이 2000만원에서 1원만 넘어도 부양가족 등록이 불가능해진다. 분리과세 대상 초과금액부터 100만원 기준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국세청 관계자는 “배당소득을 포함한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순간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기 때문에 양도차익 2000만원 모두가 소득금액 100만원을 적용할 때 한꺼번에 반영된다”고 설명했다.
맞벌이 부부가 동일한 자녀를 각각의 부양가족으로 중복 등록하는 경우도 주의해야 한다. 부양가족은 여러 명의 근로자에게 중복해 등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가 둘인 맞벌이 부부는 자녀 한 명씩을 각각의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다는 의미다.
맞벌이 부부가 부양가족 등록을 통한 절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선 부부 중 소득이 높은 사람에게 부양가족을 몰아서 등록하는 게 좋다. 소득세는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데, 적용 세율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에게 소득공제 혜택이 집중되게 해야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세금을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2021년 귀속분 근로소득에 대한 작년 연말정산에서 환급액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세금을 추가로 납부한 직장인이 4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23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작년 연말정산에서 '납부할 세액'이 있던 사람은 393만4600명을 기록했다. 이들은 연중 미리 떼인 세금이 실제 세금보다 적어 연말정산 이후 추가 세액을 납부한 사람들이다.지난해 연말정산에서 근로소득을 신고한 근로자는 1995만9000명이었는데, 이 중 19.7%가 연말정산으로 세금을 토해낸 것이다. 세금을 돌려받은 사람은 67.7%(1351만2000명)였다.연말정산으로 세금을 추가로 낸 사람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임금이 올라가기 때문이다.최근 5년간 추이를 보면 추가세액 납부자는 2017년 322만명에서 2018년 351만4000명, 2019년 380만9000명으로 늘었다. 2020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정부가 각종 공제를 늘리면서 추가세액 납부자가 351만1000명으로 줄었으나, 2021년에는 다시 40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증가했다.지난해 연말정산 추가세액 납부자가 토해낸 세금은 총 3조8373억원으로, 1인당 평균 97만5000원 꼴이었다. 추가세액 납부자가 낸 평균 세금은 2017년 85만원, 2018년과 2019년 각 89만원에서 2020년 92만원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더 증가했다.한편, 지난해 연말정산을 신고한 근로자 중 각종 세액공제 등으로 근로소득세를 전혀 내지 않은 사람은 704만명으로 전체의 35.3%인 것으로 나타났다.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13월의 월급’을 챙길 수 있는 연말정산, 잘 준비하고 계신가요? 세금을 되돌려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맘때쯤 한 가지 더 기억하셔야 할 사실이 있습니다. 연말정산 시기엔 정부 기관을 사칭한 각종 피싱이 들끓는다는 점입니다. 국세청인 척 네이버 아이디·비밀번호 요구최근 국세청을 사칭한 각종 악성 이메일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국세청은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는데요. 악성 이메일은 제목에 ‘국세청 세무조사 출석요구 안내통지문’이라는 문구를 넣어 마치 국세청에서 보낸 이메일처럼 위장하고 있습니다. 발송 주소도 실제 국세청의 도메인처럼 보이도록 조작했습니다.컴퓨터 보안업체 이스트시큐리티는 메일 발송주소가 기관의 공식 주소와 동일해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측은 “발신지의 공식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해킹 메일을 구분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인데, 공격자가 이메일 발송 서버를 구축하거나 별도 설정을 통해 실제 주소처럼 보이도록 조작하는 경우도 있다”며 “또 실제 주소를 도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발신지 주소를 100% 신뢰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습니다.첨부된 PDF 파일을 클릭할 경우, 네이버나 카카오 등 포털사이트로 위장한 로그인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화면 구성은 실제 포털 사이트와 거의 똑같고, 주소창의 URL도 실제 사이트와 유사합니다. 실제 주소에 영어 스펠링을 3~4개만 추가한 위장 URL입니다. 여기에 사용자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유도해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겁니다. 이렇게 입력된 개인 정보는 범죄자들에게 전달되는데요. 네이버와 카카오톡에 연결된 신용카드나 계좌 정보가 노출돼 금전적 피해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유출돼도, 사용자가 가입한 다른 웹사이트도 해킹당할 수 있습니다. 보통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경향을 이용하는 건데요. 범죄자들은 자동화된 ‘봇넷’을 이용해 하나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가지고 수많은 다른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합니다. 2021년 보안업체 아카마이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개 봇넷에서 시간당 최대 30만건의 부정 로그인을 시도한다고 합니다. 개인정보 유출을 피하기 위해 기억할 점은, 국세청 등의 공공기관은 이메일을 통해 이런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국세청 측은 “국세청은 이메일을 통해 세무조사 출석요구 안내는 물론 연말정산 관련 일체의 자료요구를 하지 않는다”며 “포털사이트 로그인 화면 연결을 통해 계정 정보를 요구하는 메일을 받은 경우 해당 메일을 즉시 삭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국세청은 피싱 메일을 인지하고 대응에 나섰습니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 해당 메일을 차단해달라고 요청했고, 홈페이지에 주의 안내문을 게시했습니다. '세금' 미끼로 한 피싱, 전체 웹공격 56% 차지다양한 피싱 소재 중에서도 세금은 범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아카마이의 보안 리서치 매니저인 오어 카츠는 2021년 보고서에서 “세금 사기는 범죄자의 사전에서 가장 오래된 사기 중 하나”라며 “민감한 금융 정보를 탈취해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고, 세금 납부는 매년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반복 활동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말정산이나 세금 납부 기간에 피싱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이유입니다.아카마이에 따르면 2020년에 공공 부문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56%는 과세 시즌에 집중됐습니다. 미국 국세청인 IRS로 위장해 PIN, 비밀번호, 아이디 등을 요구한 겁니다. 최근엔 ‘시의적절’한 피싱이 늘고 있습니다. 대학 입시 기간에 합격 발표나 입학 등록을 기다리는 사람들을 상대로 대학을 사칭하거나, 코로나로 대출 수요가 늘었을 땐 은행을 사칭하는 식입니다. 설날, 추석 등 명절도 피싱 범죄자들에겐 대목입니다.피싱의 소재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택배사를 사칭해 링크에 들어가 배송 주소를 수정하라고 한다든가, 명절 선물로 모바일 상품권을 보내니 링크에 들어가 확인하라고 하는 식입니다. 공통점은 특정 링크로 사용자를 유도한다는 점입니다. 링크를 클릭하고 개인 정보를 입력하게 만들거나,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합니다. 일단 링크를 클릭하라는 메시지나 이메일은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일 859건씩 사기 범죄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사기공화국'이라는 부끄러운 별명까지 있을 정도입니다. ‘사기꾼 피하기’는 사기 범죄가 넘치는 한국 사회에서 피해자들이 어떤 과정으로 사기 피해를 입는지, 나날이 진화하는 새로운 사기 수법은 무엇인지,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합니다.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놓치지 않고 연재기사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
2023년 1월 15일 국세청 연말정산간소화 시스템이 오픈되면서 2022년 소득에 대한 연말정산 작업이 한창입니다. 연봉이 비슷한 동료가 백만원이 넘는 세금을 되돌려 받을 거라며 모처럼만의 해외여행 계획으로 한껏 들떠 있는 모습을 보면 무척이나 부럽습니다. 올해에는 미리미리 연말정산 대비 전략을 세워서 13월의 월급을 꼭 챙겨보고 싶습니다. 노후준비도 앞서 준비하면 매년 꽤 많은 세금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연금계좌의 세액공제금액이 대폭 확대됐습니다. 2022년에는 50세 이상이면서 총 급여액이 1억2000만원 이하인 근로소득자(종합소득금액이 1억원 이하인 개인사업자)만 예외적으로 받을 수 있었던 900만원의 연금계좌 세액공제를 2023년부터는 소득 및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적용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연금계좌는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IRP)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연간 400만원까지 적용되던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금액이 2023년부터 600만원으로 무려 50%나 증가됐기 때문입니다. 연금저축 600만원에 IRP 납입금액 300만원을 더해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국민연금 등으로는 충분한 노후준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자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세금혜택을 크게 늘려준 것으로 보입니다.연간 900만원을 연금계좌에 납입하고, 연말정산 시점에 세액공제를 받게 되면 실제로 소득세를 얼마를 돌려받게 될까요? 근로소득자의 총 급여액이 5500만원(개인사업자는 종합소득금액이 4500만원) 이하일 경우에는 16.5%의 세금을 되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900만원*16.5%=148만5000원의 세금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2022년에는 되돌려 받을 수 있는 세금이 115만5000원이었던 것에 비해 33만원이 늘어난 것입니다. 근로소득자의 총 급여액이 5500만원(개인사업자는 종합소득금액이 4500만원)을 초과할 경우에는 13.2%의 세금을 되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6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에는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보험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데 다양한 펀드 및 상장지수펀드(ETF)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외 주식시장이 2022년부터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지금부터 연금저축펀드에 매월 일정금액을 가입해 펀드에 투자하면 장기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투자전략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운용자산의 70%까지만 위험자산을 편입할 수 있는 IRP와 달리 연금저축펀드에는 100%까지 위험자산을 편입시킬 수 있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물론 주식의 변동성이 꺼려질 경우에는 채권형 펀드 등 안전한 성향의 펀드로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 연금저축펀드는 원금보장과 예금자보호는 불가능합니다.연금저축보험은 보험사, 은행,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데 생명보험회사의 연금저축보험은 향후연금을 받을 때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종신연금형의 선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에 비해 기대수익률이 낮긴 하지만 100세 시대에 딱 맞는, 진정한 연금자산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하는 연금저축펀드와 달리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 중 하나입니다.IRP로는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900만원의 한도금액은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금액을 포함한 금액이기 때문에 연금저축계좌에 600만원을 가입했다면 IRP계좌에서는 300만원의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IRP계좌에는 위험자산 비중을 70% 밑으로 유지해야 하지만, 적격 인증을 받은 타깃데이트펀드(TDF)는 100% 편입할 수 있습니다. 세금 148만5000원을 돌려받고 해외여행을 떠나보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오늘부터 실행에 옮겨보는 건 어떨까요?<한경닷컴 The Moneyist> 조재영 웰스에듀 부사장"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