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21일 2,380대에서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9.15포인트(0.38%) 오른 2,388.35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7.34포인트(0.73%) 오른 2,396.54에 개장한 뒤 상승 폭이 점차 줄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33포인트(0.04%) 오른 802.53으로 거래를 마쳤다. /연합뉴스
한국거래소는 이달 22일부터 거래되는 2023년 9월물 국채선물의 최종결제기준채권을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3년국채선물 2023년 9월물(KTB3F2309)의 기준 채권은 국고04250-2512(22-13), 국고03125-2506(22-4), 국고03250-2803(23-1) 등 3개 종목이다. 5년국채선물 2023년 9월물(KTB5F2309)의 기준 채권은 국고03250-2803(23-1), 국고03125-2709(22-8) 등 2개 종목이, 10년국채선물 2023년 9월물(KTB10F2309)의 기준 채권은 국고04250-3212(22-14), 국고03375-3206(22-5) 등 2개 종목이 지정됐다. 국채선물은 액면가 100원, 표면금리 5%의 국고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이다. 실제 이런 국고채는 존재하지 않아 거래소가 기초자산에 유사하도록 6개월 단위 이자 지급 방식의 국고채 중 일부를 조합하는데, 이때 지정되는 국고채가 최종결제기준채권이다. 최종결제기준채권별 현물 수익률은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매일 오전 11시 30분, 오후 4시를 기준으로 산출해 공표한다.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은 택배회사를 사칭한 문자메시지를 보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 단계의 소비자경보를 21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택배사에서 보낸 것처럼 꾸며 "귀하의 물건을 주소 불일치 사유로 보관 중이니 아래를 클릭 후 주소지 변경 요청 바랍니다" 등의 메시지를 배포한 것으로 파악됐다. 스마트폰에서 문자메시지의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거나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 앱 설치를 유도, 개인정보를 빼내 간 것으로 금감원은 보고 있다. 사기범들은 몰래 빼낸 피해자의 개인정보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고 은행 모바일 앱에 접속해 계좌의 돈을 빼내기도 했다고 금감원은 파악했다. 이 밖에 자영업자에게 전화해 허위로 방역지원금을 지급한다고 속이며 개인정보를 빼간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은 "유사한 문자메시지를 받은 경우 인터넷 주소는 절대로 누르지 말고 바로 삭제해야 하며, 해당 메시지를 발송한 번호로 답장을 보내거나 전화 회신을 해서도 안 된다"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이어 "정부나 공공기관, 금융기관은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절대로 개인정보,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라며 "방역지원금, 정책지원금 등 신청을 위해 개인정보나 신용카드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