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수준으로 가격 떨어져
미국 경기침체 우려 증폭된 탓
중국에서도 수요둔화 조짐 나타나
세계 경기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국제 유가가 지난해 말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3.5%(2.68달러) 떨어진 74.2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2월물 브렌트유도 배럴당 4%(3.33달러) 급락한 79.35달러에 마감했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WTI는 지난해 12월23일 이후, 브렌트유는 올해 1월 3일 이후 각각 최저가를 찍었다. 미 중앙은행(Fed)의 통화긴축이 예상보다 강하고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면서 유가 하락세가 커졌다는 설명이다. Fed 공격적인 금리인상으로 인해 세계 원유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을 투자자들이 경계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미국에서는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고용 및 경제 지표가 잇따라 발표되면서 연준이 내년에도 긴축의 고삐를 틀어쥘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다. 이러한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정책 여파로 경기침체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와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 등 월가의 주요 경영자들이 이날 방송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경고 메시지를 날린 것이 시장을 더욱 얼어붙게 했다.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모든걸 잠식하고 있다”고 했다. 골드만삭스의 솔로몬 CEO도 같은날 뉴욕에서 열린 콘퍼런스와 외신 인터뷰 등을 통해 “순탄치 않은 시기에 들어설 수 있다”고 경계했다. 그는 2023년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CEO들의 전망이 현실로 이뤄지고 있다는 우려가 증폭됐다. 미국에선 기업들이 4분기 실적 전망을 낮추고 대규모 정리해고에 들어갔다. 파라마운트글로벌은 광고 사업 부진으로 4분기 실적이 부진했던 3분기보다 더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고,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직원 약 2%를 감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엔 펩시코의 북미 본사 직원 정리해고 소식도 들렸다.
RJO선물의 선임 시장전략가 엘리 테스파예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시장 심리는 부정적”이라면서 "이대로라면 WTI가 배럴당 60달러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이날 월간 보고서를 통해 WTI와 브렌트유 가격 전망치를 낮췄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완화가 더딘 것도 원유 선물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에 따른 분석이다.
석유 최대 소비국인 중국은 전날 11월 차이신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6.7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5월 이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통상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에 유럽 경제가 높은 에너지 비용과 기준금리 상승으로 둔화한 점이 석유 수요 불안 요소로 작용해 유가 발목을 잡았다고 CNBC는 설명했다.
원유 트레이더들은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5일 발효한 러시아산 석유 가격 상한제가 향후 유가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는 모습이다. 케이플러의 매트 스미스 수석 애널리스트는 “현재까지 러시아 공급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러시아의 해상 수출과 석유 생산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면서도 “석유 시장은 더 넓은 시장에서 나타난 위험 회피에 휩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DC의 변호사인 엘리 알브레히트는 코로나19가 창궐한 뒤 근무 시간을 대폭 줄였다. 2019년까지 매주 80~90시간을 근무했지만, 최근 60~70시간으로 단축했다. 가족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는 이유에서다. 필수 업무는 화상회의 앱인 '줌'을 활용해서 처리한다.알브레히트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가족을 부양하는 게 아버지가 할 역할의 전부는 아니다”라며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자녀와 친구 같은 관계가 되려면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미국 고소득 노동자들이 코로나 팬데믹을 겪은 뒤 근무 시간을 대폭 줄이기 시작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워싱턴대학교 경제학과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 노동 시장에서 상위 10%의 남성 고소득자의 평균 근무 시간이 2019년 대비 평균 77시간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매주 1.5시간(3%)씩 더 줄어든 셈이다. 같은 기간 여성 고소득자(상위 10%)의 근무 시간은 29시간 단축됐다. 미국 전체 노동자를 기준으로 2019년에 비해 지난해 평균 18시간 근무 시간이 줄었다. 남성 노동자는 28시간, 여성 노동자는 9시간 감소했다. 지난해 남성 노동자는 평균 2006시간을 일했고, 여성은 1758시간을 근무했다.논문을 집필한 신용석 워싱턴대 교수는 “흔히 ‘워커홀릭’이라 불리는 25~39세 고소득 남성들이 자발적으로 초과근무를 그만두고 있다”며 "이 집단에 속하는 근로자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비교적 근무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여전히 평균 근무 시간을 웃돈다"고 설명했다.가족이 있는 고소득 남성의 경우에 근무 시간이 더 줄었다. 미 노동통계국과
세계 곳곳에서 기업들이 최고재무책임자(CFO) 구인난에 시달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로 금리 시대가 지난해 저물며 자본 조달과 예산 할당의 중요도가 커졌기 때문이다. 과거 '콩 세는 인간(Bean Counter)'으로 등한시됐던 CFO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다는 관측도 나온다.고위급 임원 전문 헤드헌팅업체 스펜서 스튜어트는 26일(현지시간) 올해 CFO 이직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가량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를 휩쓴 인플레이션과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해 자본 조달 환경이 악화했기 때문이란 해석이다.돈 빌리기 어려운 환경이 이어지자 기업에선 역량이 뛰어난 CFO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스펜서 스튜어트의 유럽지사 CFO인 크리스 건트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는 최고경영자(CEO)의 역량이 CFO보다 중요하게 여겨졌다"며 "CFO가 위기에 대처하는 리더에 적합하지 않다는 인식 때문이다"라고 했다.하지만 지난해 금리 인상이 1년 내내 지속되자 인식이 달라졌다. 인플레이션과 고(高)금리가 장기화하자 CFO를 교체하는 기업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능력 있는 CFO를 데려와 침체를 대비하고 새 먹거리를 찾으려는 이유에서다.최근 에오인 통그 마크스펜서 CFO는 어소시에이티드 브리티시 푸드로 이직했고, 줄리 브라운 버버리 그룹 CFO는 제약회사 GSK로 직장을 옮겼다. 글로벌 패션기업 아소스는 새 CFO를 찾고 있다. 훌륭한 CFO를 구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 금리인상이란 악조건을 모두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라서다.컨설팅업체 콘페리의 레베카 몰렌드 CFO는 "영국 FTSE100에 편입된 기업 CFO의 평균 연령이 52세임을 감안하면 지금 같은 위기를 실
미국 전자담배업체 쥴(JUUL)이 매각 등을 염두에 두고 글로벌 담배기업 세 곳을 상대로 초기 협상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쥴이 매각, 신규 투자, 유통·판매 파트너십 체결 등과 관련해 필립모리스, 재팬타바코(JTI), 알트리아 등과 협의했다고 보도했다. 알트리아는 담배 브랜드 말버러, JTI는 메비우스, 필립모리스는 팔리아멘트 등을 보유하고 있다. 쥴이 이들 기업과 협상을 벌이는 것은 파산을 피하기 위해서다. 판매 금지 명령을 받은 데다 미성년자 흡연 조장 혐의로 각종 소송에 걸려 있어서다. 지난달 6일에는 개인, 교육청이 제기한 민사소송 5000여 건을 종결하며 합의금 17억달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알트리아가 평가한 쥴의 기업가치는 약 10억달러(약 1조2000억원)다.오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