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건설사의 핵심 먹거리였던 도시정비 사업, 즉 재건축·재개발의 수익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사활을 걸고 수주 규모를 늘려온 대형 건설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지효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달 서울 용산구 한남2구역 재개발 사업 수주전.

롯데건설은 투표장 PC에 접근했다는 의혹으로 경찰에 대우건설을 고발했고, 대우건설은 '인근 공인중개사에 현금을 살포한 혐의가 있다'고 맞섰습니다.

이처럼 도시정비 수주에 사활을 걸었던 건설사들, 한달 만에 분위기가 급변해 최근에는 강남의 알짜 사업지 마저 외면하고 있습니다.

분양만 하면 성공이 보장됐던 과거와 달리 '미분양 리스크'가 커진 데다, 원자재 가격 인상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경색으로 수익성까지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주요 건설사들이 도시정비 사업 수주를 늘려왔다는 점입니다.

현대건설이 지난해 5조 수준에서 올해 9조까지 늘린 것을 비롯해 상위 6개 건설사의 수주 규모는 평균 45% 확대됐습니다.



[권대중 /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결국 건설사가 수주를 안하게 되고, 재건축·재개발 사업 지구도 사업 진행이 어려워집니다. 당분간 자기자본 범위 내에서 사업을 하는 게 맞을 것 같아요.]

건설사들이 최대한 몸을 사리고 있지만 이미 따낸 계약에는 돈이 더 들어갈 수밖에 없어,

중소·중견사는 물론 대형 건설사 상당수의 채무보증 잔액이 자기자본을 넘어섰습니다.

[김정주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 최근에는 가격이 떨어지다보니까 분양을 안 받으려고 합니다. 기존에 추진했던 사업장들이 분양까지 안되면 유입 자체가 안되니까 사업장이 부실화하는 겁니다.]

'10만명 청약설'까지 돌았던 둔촌주공 재건축 1순위 청약에도 1만명이 모이는 데 그친 상황.

이미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데다 미분양 공포까지 더해지며 공사를 늦추거나 중단한 사업장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


이지효기자 jhlee@wowtv.co.kr
수주에 사활 걸었는데…위기의 '도정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