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8% 진입을 눈앞에 뒀던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연 7% 초반까지 떨어졌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완화되고 금융당국이 대출금리 인하 압박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대출금리 상승세가 한풀 꺾이면서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 의존도가 높은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건전성 우려도 나온다.

고정형 주담대 금리 연 7% 밑돌아

한풀 꺾인 주담대 금리…연 7% 초반으로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이날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5.25~7.36%로 집계됐다. 이들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지난달 11일 연 5.18~7.71%까지 올랐다가 점차 하락하면서 금리 상단이 0.35%포인트 낮아졌다.

고정형(혼합형) 주담대 금리 상단은 연 6% 후반대까지 내렸다. 이날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연 4.85~6.85%로 지난달 11일(연 5.30~7.27%)과 비교하면 상·하단이 0.42~0.45%포인트 하락했다. 신용대출 금리(신용등급 1등급 기준) 하단도 연 6% 초반까지 떨어졌다.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면서 대출금리 책정 기준인 금융채 금리 상승세가 꺾인 게 주담대 금리를 끌어내렸다. 고정형 주담대 지표금리인 금융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지난달 8일 연 5.262%까지 치솟았지만 지난 6일엔 연 4.707%로 하락했다. 신용대출 금리와 일부 변동형 주담대 금리 산정에 반영되는 금융채 6개월물(AAA·무보증) 금리도 같은 기간 연 4.611%에서 연 4.499%로 내려갔다.

은행권으로의 자금 쏠림과 대출금리 상승을 우려한 금융당국이 은행 예금금리 인상 자제를 권고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예금금리가 오르면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을 뜻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상승해 대출금리도 덩달아 뛴다. 당국은 올해 3분기 기준 187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관리를 이유로 금융사 대출금리까지 모니터링하는 등 대출금리 인하 압박에 나섰다.

은행들은 자체적으로 산정하는 가산금리를 낮춰 대출금리를 내리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여신담당 임원은 “가산금리를 내리고 우대금리(가감조정금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2금융권 건전성 우려도

예금금리 인상 자제령에 이어 대출금리 규제까지 시행되자 저축은행 등 2금융권 금융사의 재정 건전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저축은행 1년 만기 기준 정기예금과 대출금리 차이는 6.09%포인트를 기록했다. 9월(7.27%포인트)에 비해 1.18%포인트 내렸다. 올 들어 처음으로 저축은행 예대금리차가 전달보다 하락했다.

금융권에서는 제2금융권 수익성이 나빠질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당국이 신용협동조합 등 상호금융권에도 고금리 특판 상품 출시를 자제할 것을 주문하면서 수신 자금을 끌어올 통로가 좁아지고 있어서다. 2금융권은 단순 예대마진 수익 의존도가 높다. 일각에선 예대금리차가 계속 줄어들면 대출에 따른 수익보다 지급할 예금 이자가 더 많아지는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