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화물연대 총파업이 8일 차에 접어 들면서 그 파장이 산업 현장 곳곳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 기자와 알아 보겠습니다. 산업부 이지효 기자 나와 있습니다.

이 기자, 시멘트 운수 종사자에게 업무개시명령이 떨어졌는데 상황이 나아졌나요, 어떻습니까?

<기자>

2004년 업무개시명령이 도입된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시멘트 업계에 적용됐죠.

건설 현장의 피해가 가장 컸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당장 이 조치가 효력이 발생하기는 힘든 구조입니다.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지면 정부가 명령서를 전달하는데, 이게 실제 종사자에게 가야됩니다.

그런데 조합원들이 이 명령서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명령서를 받으면 다음 날 자정까지 업무에 복귀해야 형사처벌 등을 피할 수 있는데요.

주소지를 바꾸거나 휴대폰을 꺼놓는 식으로 아예 이걸 받지 않는 거죠.

국토부는 운송을 거부한 운송사 29곳에 대해서 업무개시명령서를 교부했고, 9개사가 업무를 재개했거나 재개할 예정입니다.

<앵커>

건설 현장은 셧다운 위기라는데 상황이 어떻습니까?

<기자>

주택 건설 현장의 경우 벌써 전국적으로 200개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됐고,

이번 주 중으로 128개 현장에서 추가적으로 공사가 멈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역대 최대 규모 재건축 사업인 둔촌주공 역시 다음주 공사가 '셧다운'될 위기에 몰렸습니다.

배선, 창호 등 대체 작업을 먼저 하고 있었지만 시멘트 유통이 막히면서 공사를 더 할 수 없게 된 겁니다.

공사가 지체되면 공사를 수행하는 측이 발주처에 물어야 하는 돈을 지체상금이라고 합니다.

건설업계 관계자에 물으니 이게 1일당 계약금의 0.1% 수준이라고 합니다.

둔촌주공 공사비가 3조 정도인데 단순 계산해 보면 하루 30억원을 물어야하는 거죠.

건설사의 피해는 협력 업체, 그리고 일용직 건설 근로자까지 이어집니다.

현장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시죠.



[둔촌주공 관계자: 주 인원이 골조 공사거든요. 주 작업 근로자가. 현재 상태도 인원수가 3분의 1 정도가 빠져있는 상태고 다음주가 되면 3분의 2 이상이 할 수 없이 작업량이 줄어서…]

공기를 맞추기 위해서 서둘러 공사하다 보면 안전 문제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피해도 예상됩니다.

<앵커>

주유소에서도 품절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는데 어떻습니까?

<기자>

건설 현장 다음으로 문제가 되는 게 주요소입니다.

파업을 대비해 저장고를 미리 채우며 대비했지만 회전율이 높은 곳들은 재고가 빠르게 줄고 있고요.

기름을 못 구할까 걱정하는 시민들의 '패닉 바잉'까지 이어지면서 재고 소진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로드 탁송' 불안감까지 퍼지고 있는데요.

관련된 내용은 신재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KIA 수출용차량'이라고 적힌 팻말을 든 사람들이 줄 지어 어디론가 이동합니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탁송업무가 마비되다시피 하면서, 기아 광명공장에서 출하장까지 직접 신차를 몰고 가는 '로드 탁송'을 하러 가는 인력들입니다.

신차를 운송할 캐리어에 싣지 않고 직접 차를 몰아 탁송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주행거리 100km 가까운 신차 아닌 신차를 인도 받는 상황입니다.

로드 탁송에 거부감을 갖는 소비자들은 직접 공장으로 발걸음을 하기도 합니다.

급기야 경북 경산에서 경기도 광명까지 차를 받으러 온 소비자도 있습니다.

[신차 소비자: 신차다 보니 다른 분이 운전하시는 게 탐탁지 않더라고요. 신차를 샀는데 다른 분이 운전해서 300km를 타고 오면 중고차나 다름없다고 저는 느끼거든요.]

유조차 운송거부로 휘발유 공급도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휘발유와 경유 등 제품이 바닥난 품절 주유소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주유소 관계자: (이 주유소에서 품절이 난 적이 있었습니까?) 그 전에는 없었고요. 이번이 처음이고요. 어제 오전에 휘발유가 품절이 되어서 못 팔고 있고…]

전국적으로 유류 재고가 다 떨어진 주유소는 총 49곳으로, 하루 만에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전국 주유소 재고는 많아봐야 어제 기준 열흘 남짓에 불과합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재고가 2~3일에 불과해 이 상태로 주말을 넘길 경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화물연대 파업의 피해가 산업에 이어 서민생활로 전방위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재근입니다.



이번 파업 사태로 수요가 늘면서 '운전 면허증만 있으면 된다'는 아르바이트 모집이 빗발치고 있고,

온라인에서는 '로드 탁송' 사고 목격담 등도 올라오고 있는데요.

주행시 혹시 모를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보상에 대한 규정이 없어서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앵커>

산업 피해는 물론 서민 생활도 위협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정부의 대응도 속도를 내고 있죠?

<기자>

화물연대 총파업이 일주일 째 이어지면서 산업 피해가 벌써 1조원을 넘어섰는데요.

매일매일 천문학적 수치로 피해가 불어나고 있습니다.

건설 현장의 공기 지연과 안전 사고에 대한 불안, 기름 대란에, 로드 탁송 걱정까지 더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시멘트 운수 종사자에게 내려진 업무개시명령을 정유, 철강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기 위한 임시 국무회의가 이르면 내일 열릴 가능성도 있는데요.

특히 수도권에서부터 기름이 바닥나는 주유 대란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대로 주말을 넘기게 되면 대혼란이 예상됩니다.

또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정부는 조합원들이 명령서를 계속해서 피하는 것에 대응해 공시 송달도 논의하고 있습니다.

관보나 일간지 등에 명령서 내용을 일정 기간 게재하면 당사자에게 직접 전달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인데요.

보통 14일 간 공시하지만 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3일 후 효력이 발생하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이 기자, 잘 들었습니다.


이지효 기자·신재근 기자 jhlee@wowtv.co.kr
공사 중단에 건설 근로자 고통…산업 이어 서민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