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같은 ‘공룡’들이 장악했던 뷰티시장에서 최근 중소 화장품업체들이 약진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만 해도 오프라인 점포를 중심으로 한 화장품 구매가 주를 이뤘던 만큼 자본력이 풍부한 대기업에 유리한 환경이었다.하지만 팬데믹(대유행) 이후 온라인 채널이 주요 판로로 자리 잡으면서 톡톡 튀는 마케팅을 앞세운 중소업체들이 시장의 ‘핵심 선수’로 떠올랐다. 이들의 기획과 눈높이를 맞춰줄 수 있는 ‘글로벌 톱’ 수준의 국내 ODM(제조업자 개발생산) 기업의 생산력도 든든한 힘이 됐다. ○뷰티업계 ‘인디브랜드’ 급증27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맥스의 고객사는 코로나19가 창궐하기 전인 2019년 600여 곳에서 지난해 800여 곳으로 30% 넘게 늘어났다. 한국콜마의 지난해 3분기 보고서에 명시된 고객사 수는 900여 개로, 이는 2년 전 보고서에 나온 수치(600여 개)의 1.5배 수준이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매장이 없는, 온라인 전용 인디브랜드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ODM 기업들은 일반인의 화장품 사업 진출을 돕는 맞춤형 솔루션도 운영하고 있다. 화장품 사업 참여자가 개인으로까지 넓어진 것이다. 한국콜마는 2020년 6월부터 뷰티·헬스 프로덕션 플랫폼 ‘플래닛(PLANIT)147’을 운영하고 있다. 이종 기업은 물론 일반인도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코스맥스도 원스톱 화장품 개발 온라인 플랫폼 ‘코스맥스 플러스’를 지난해 1월 론칭했다. ○‘다품종 소량 생산’ 흐름 주도인디브랜드의 톡톡 튀는 기획력에 세계 최고 수준의
롯데면세점이 신라면세점을 제치고 제주국제공항 출국장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로써 롯데면세점은 국내에 있는 국제공항 가운데 대기업이 면세사업장을 운영할 수 있는 모든 공항(인천·제주·김포·김해)에서 사업을 펼칠 수 있게 됐다.관세청은 27일 제1회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를 열어 롯데면세점을 제주공항 출국장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롯데면세점은 오는 3월 1일부터 최장 10년(5+5년)간 제주공항 국제선 3층 출국장에서 면세점을 운영한다. 현 사업자인 신라면세점은 다음달 28일 영업을 마무리한다. 매장 면적은 총 544.79㎡로 화장품, 향수, 주류, 패션잡화 등 전 품목을 취급한다.롯데면세점은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의 영향으로 앞으로 제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아지면 제주 면세점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공항 면세점의 매출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420억원이다.2016년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운영할 당시에는 매출이 710억원에 달했다. 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는 “글로벌 리오프닝 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미경 기자
“남성 정장 비중을 줄이지 않으면 백화점에서 매장을 빼겠다.”한 중견 패션회사 정장 브랜드 영업팀은 최근 입점해 있는 백화점으로부터 남성 정장 비중을 줄이고 캐주얼 의류를 늘리라는 압박을 받았다. 사내 복장 자율화, 재택근무가 대세가 되면서 정장 매출이 급감한 게 이유였다. ○백화점에서 사라지는 정장패션·유통업계에선 복장 자율화 등의 확산으로 남성 정장이 내리막길을 걸은 게 2010년대 중반께부터인 것으로 본다. 그새 패션기업들은 수요 감소에 발맞춰 스스로 정장 비중을 축소해왔다.이런 와중에 최근엔 유통회사들까지 나서 패션회사들에 남성 정장 비중 축소를 몰아붙이는 분위기다. 시장에선 정장이 퇴출당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세계 3대 정장 브랜드로 불리는 ‘키톤’ ‘브리오니’ ‘체사레 아톨리니’는 주요 백화점에서 단독 매장을 줄이고 있다. 이들은 재킷과 바지를 합쳐 수백만원에서 1000만원대에 달하는 초고가 브랜드들이다.브리오니의 경우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에서 2021년 철수했다. 갤러리아는 압구정 명품관에서 키톤 등 럭셔리 정장 브랜드의 단독 매장을 없애는 대신 편집 매장에 포함해 다른 브랜드들과 함께 판매하고 있다.백화점 관계자는 “정장만으로는 매출이 잘 나오지 않아 단독 매장의 구색을 갖추기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한 정장 브랜드 관계자는 “갈수록 수요가 줄어드니 알아서 비중을 줄이는 추세였는데 요즘은 백화점으로부터 캐주얼을 늘리라는 압력까지 들어온다”며 “정장을 줄이지 않으면 매장을 빼겠다는 식”이라고 말했다.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