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 '뷰티 공룡'들이 장악하던 뷰티시장에서 최근 중소 화장품업체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코로나19 이전까지만 해도 오프라인 점포를 중심으로 한 화장품 구매가 주를 이룬 만큼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이 유리한 환경이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온라인 채널이 주요 판로로 자리잡으면서 톡톡 튀는 마케팅·브랜딩을 앞세운 중소업체들이 뷰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부상했다. 중소업체가 소규모 자본만으로 선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들 제품의 제조를 맡고 있는 화장품 ODM(제조업자 개발생산)사들의 생산력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이후 '인디브랜드' 고객 폭증 2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표 화장품 ODM사인 코스맥스와 한국콜마에 화장품 제조를 위탁한 고객 수가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19가 창궐하기 전인 2019년 600여 개였던 코스맥스의 고객사는 지난해 800여 개가 됐다. 3년 새 고객이 30% 가량 늘어난 것이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별도의 오프라인 매장이 없는, 온라인 전용 인디 브랜드들이 늘어났다"며 "신규 고객사의 대다수가 이같은 인디 브랜드"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주요 ODM사인 한국콜마의 지난해 3분기 보고서에 명시된 고객사 수는 900여 개인데, 이는 2년전 보고서에 나온 수치(600여 개)의 150% 수준이다. 이들 ODM사는 일반인의 화장품 사업 진출을 돕는 맞춤형 솔루션도 운영하고 있다. 화장품 사업의 진입장벽이 대폭 낮아진 것이다. 한국콜마는 지난 2020년 6월부터 뷰티·헬스 프로덕션 플랫폼 '플래닛(PLANIT)147'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국의 봉쇄 해제 정책이 킹크랩, 대게 등 우리나라 수산물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수출길이 열리자 국내에 들어오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이다. 중국 봉쇄 조치 이후 가격이 급락했던 러시아산 킹크랩과 대게 가격은 최근 상승세에 접어들었다. 수요는 늘어난 반면 공급은 불안정해져 한동안 이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27일 수산물 유통 플랫폼 인어교주해적단에 따르면 러시아산 A급(살 수율 80~95%) 대게 평균 소매가격은 ㎏당 7만7100원에 거래됐다. 두 달 전(지난해 11월 27일) 6만4900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시세가 18.7% 뛰었다. 11월 말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한 대게 가격은 12월 중순 kg당 7만원대를 돌파한 뒤 현재 8만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이맘때 국내에 유통되는 레드킹크랩 가격도 상승세로 돌아섰다. 12월 초 8만원 초반에서 이날 8만8800원에 시세를 형성했다. 3kg짜리 킹크랩 한 마리를 먹으려면 26만4000원을 지불해야하는 것이다.일정치 않은 수요와 공급이 킹크랩과 대게 가격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변수는 중국 소비다. 작년 봄에는 중국에서 강도 높은 방역 정책이 시행되자 중국 수출길이 막힌 킹크랩 물량이 국내에 일시적으로 다량 유입되며 가격이 하락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최근 강도 높은 봉쇄를 해제했고 중국 내 수요는 작년과 비교해 대폭 늘어난 상황이다. 한 대형마트 수산 상품기획자(MD)는 킹크랩은 “이동 제한이 풀리자 중국 춘절(1월 21~27일) 연휴에 중국 내 식자재 수요가 늘었고 국내 유입 물량은 줄었다”며 “중국 봉쇄 정책이 해제된 올해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전했다.수요는 늘어난 반면 공급이 불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