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반도체 불황에 따른 어닝쇼크에도 감산 대신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겠다고 발표하자 메모리와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후공정 외주기업(OSAT), 반도체 장비 업계가 반색하는 모습이다.삼성전자는 지난 31일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70조4600억원, 영업이익 4조31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97%, 영업이익은 68.5% 각각 감소했다.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DS부문은 매출 20조700억원, 영업이익 2700억원을 기록했다. 적자는 면했지만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7% 급감했다. 스마트폰·PC·서버 등 주요 메모리 고객사가 재고 조정을 지속하면서 메모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영향이다.이같은 실적 악화에도 삼성전자는 감산 대신 투자 강화를 선택했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지난달 31일 실적발표 후 이어진 컨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객사 재고 조정이 이어지고 있어 회사 실적에 우호적이지 않지만 미래를 준비할 좋은 기회"라며 "투자 계획 안에서 연구개발(R&D) 항목 비중도 이전 대비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실적발표에서도 웨이퍼 투입량을 줄이거나 생산 라인을 멈춰 반도체 생산량을 줄이는 '인위적 감산'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4분기에도 역대 최악의 메모리 반도체 수익성 급감이 이어지자 삼성전자도 감산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이에 대해 분명히 선을 그었다.일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 반도체 중소기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한 OSAT 업체 관계자는 "뉴스나 각종 보고서에는 올해까지 업황이 어려울
‘혼자서 잘 살아갈 수 있을까. 밥벌이는 할 수 있을까.’ 열세 살 때부터 보육원(아동양육시설)에서 자란 이희망 씨(24)는 항상 이런 걱정을 안고 살았다. 그가 자립의 꿈과 희망을 갖게 된 것은 지난해 1월 ‘삼성희망디딤돌’ 센터에 입주한 뒤다. 주거 걱정을 뒤로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꿈꾸며 공부를 시작했다. 이씨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본격적인 취업 준비를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삼성은 2일 이씨와 같은 ‘나 홀로 청소년’의 자립 준비를 돕기 위해 삼성희망디딤돌 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전남 순천시에서 개소한 삼성희망디딤돌 전남센터를 시작으로 올해에만 세 곳의 센터가 문을 연다.삼성희망디딤돌은 삼성,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주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운영하는 청소년 교육 사회공헌(CSR) 프로그램이다. 최대 2년간 주거 공간과 교육을 제공한다. 삼성 관계자는 “아동양육시설·공동생활가정·위탁가정 등에서 지내는 청소년은 만 18세가 되면 보호가 종료돼 주거 문제 등 어려움을 겪는다”며 “그 인원이 매년 2400여 명에 달해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이씨는 삼성희망디딤돌센터에서 희망을 찾은 청소년 중 한 명이다. 그는 지난달부터 삼성전자가 만 29세 이하 미취업자 중 4년제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 교육도 받고 있다. 주거 문제 해결에 이어 취업 준비까지 삼성이 도와주는 것이다.삼성희망디딤돌센터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삼성은 기존 부산·대구·강원·광주·경남·충남·전북·경기센터에 이어 올 상반
삼성전자가 퀄컴, 구글과 손잡고 확장현실(XR) 시장에 진출한다. 미국 애플이 올 하반기 XR 헤드셋을 출시하겠다고 예고한 데 대한 맞대응 차원이다. 차세대 XR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노태문 삼성전자 MX(모바일경험)사업부장(사장)은 지난 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3’에서 “퀄컴, 구글과 협력해 차세대 XR 폼팩터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극비리에 이뤄졌다. 크리스티아누 아몬 퀄컴 최고경영자(CEO)와 히로시 록하이머 구글 수석부사장이 무대에 함께 올라 ‘XR 3각 동맹’을 선언했다.XR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포괄한 개념이다. 현실과 가상세계의 경계를 허무는 정도로, 가상세계를 오감으로 매끄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신기술이다.삼성전자는 구체적인 협력 방식이나 XR 폼팩터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개발·생산하는 기기에 퀄컴 칩셋, 구글 OS(운영체제)를 적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첫 제품은 XR 헤드셋이 유력하다는 전언이다.노 사장은 “퀄컴, 구글 등 신뢰하는 파트너와 차세대 XR 경험을 공동 구축하면서 모바일의 미래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아몬 CEO는 “XR로 몰입도 높은 디지털 경험의 새로운 시대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했다.업계에서는 메타가 주도해온 XR 시장에 많은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에 이어 삼성전자·퀄컴·구글 동맹의 참여로 XR 시장 규모가 빠르게 커질 전망이다.가상·현실세계 이어주는 'XR 헤드셋' 개발 유력애플, 연내 신제품 출시 계획…2030년 1700조 시장 예상“삼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