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혁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회장(사진)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3년 만에 세계 각지의 법인장·지사장들을 불러 모았다. 글로벌 전략 강화를 위해 ‘NEST(둥지)’ 제도를 도입한 후 처음으로 열린 대면 회의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불황을 핑계로 투자 기회를 놓치지 말자”고 강조했다.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코퍼레이션그룹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날까지 사흘간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글로벌 전략 회의(GSC)’를 열었다. GSC는 이 그룹의 연중 최대 행사다. 매년 초 한 해 사업계획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올해부터는 회의 진행 방식이 달라졌다. 전략 수립의 주체가 지역 단위로 바뀐 것이다. 이는 주요국의 탈세계화 지역화 블록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NEST 제도에 따른 것이다. 세계 시장을 국가가 아니라 권역 단위로 나눠 권역별 맞춤형 현지화 전략을 짜겠다는 취지다.운영 중인 NEST는 △북·중·남미 △동·서·남아시아 △유럽·독립국가연합(CIS) △중동·아프리카 △일본(호주 중국 포함) 등 5개다. NEST별 권역장이 권역 전체의 실적을 관리하면서 현지 실정에 맞는 신사업 모델을 발굴한다. 경쟁 관계이던 법인·지사들이 하나의 권역으로 묶이면서 한 팀처럼 움직이게 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회사 관계자는 “특정 법인에는 매력적이지 않더라도 권역 전체 관점에서는 이익이 나는 사업까지 놓치지 않고 발굴하겠다는 것”이라며 “5~6개 프로젝트가 지금까지 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정 회장도 권역 단위 조직의 분발을 촉구했다. 그는 GSC 개회사에서 “유망한 사업 영
“JY(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영문 이니셜)님 결재해주세요.”삼성전자가 직원 간에만 적용하던 ‘수평 호칭’의 범위를 경영진과 임원으로 확대한다.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삼성전자 DX(디바이스경험)부문은 1일 이 같은 내용의 ‘경영진·임원 수평 호칭 가이드’를 공지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경영진이나 임원을 부를 때 직책이나 직급을 이용하는 것이 금지된다. 예컨대 회의나 간담회 등에서 사장님, 상무님이라고 하는 대신 영어 이름이나 이니셜, 한글 이름에 ‘님’을 붙이는 식으로 부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임직원에게 본인이 선호하는 이니셜이나 닉네임 등을 내부에 공지하도록 했다.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은 지난해 4월 임직원 소통행사에서 “조직문화는 수평적 문화가 기본이고, 수평적 문화의 근간에는 상호 존중이 있다”며 “부회장님, 대표님 하지 말고 JH(종희의 영문 이니셜)라고 불러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삼성전자는 2016년 직원 간 수평적 호칭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사제도 개편안을 발표했다. 직원 간 공통적인 호칭은 ‘님’을 사용하되 부서 내에서는 업무 성격에 따라 ‘님’ ‘프로’ 또는 영어 이름 등 수평적인 호칭을 자율적으로 사용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수평 호칭 제도가 시행됐음에도 불구하고 팀장, 그룹장, 임원 등은 직책으로 불러왔다”며 “이번 가이드라인 공지를 통해 직책과 직급을 이용해 호칭하는 문화가 점점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업계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캐리커처)의 실용주의
HMM 매각이 본격화하면서 경영계가 들썩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집단 순위 25위인 이 회사를 인수하면 재계 서열이 수직 상승할 것이기 때문이다. HMM 인수 매력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HMM의 지난해 9월 말 자산 규모는 29조9849억원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론 자산이 30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공정위는 자산 규모로 대기업집단의 서열을 매긴다. 작년 1위는 삼성으로 자산 규모는 419조5820억원에 달했다. 최하위(76위)는 농심(4조9760억원)이었다. 지난해 대기업집단 순위 25위인 HMM(17조6999억원)은 올해 10위권대로 진입할 전망이다.대기업집단 최하위 기업이 HMM을 인수하면 재계 순위가 단숨에 60계단가량 뛰어오르게 된다. 재계 순위는 기업 위상과도 직결되는 만큼 기업들의 관심이 적잖은 지표다. 그만큼 재계 순위 20위권 밖 대기업의 HMM 인수 유인이 크다는 분석이 많다. HMM에 눈독 들이는 기업들도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인수합병(M&A) 전략을 짜고 있다.HMM은 올 상반기에 HMM 민영화를 위한 컨설팅 자문을 추진하는 등 매각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장에서는 인수 후보로 현대글로비스 포스코그룹 LX그룹 SM그룹 하림그룹 등을 거론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한 발 빼는 모양새다. 박영주 포스코홀딩스 전략투자팀장은 지난달 27일 실적발표 설명회에서 “인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나머지 그룹들도 겉으로는 인수에 관심이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는 “HMM은 재계 서열을 단숨에 끌어올릴 마지막 매물로서 매력이 크다”고 설명했다.김익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