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만 의원실 발전공기업 혁신계획안 분석 "인도네시아 광산 보유 유연탄업체 지분 절반 7천억원에 매각예정"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라 발전공기업 5사가 최근 3년간 순수익 10조원을 낸 인도네시아 광산 지분 절반을 헐값에 매각하게 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경만 의원이 입수한 서부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중부발전·남동발전 등 발전5사 혁신계획안에 따르면, 이들 공기업은 각각 4%씩 보유한 인도네시아 유연탄 업체인 PT 바얀리소스(PT Bayan Resources TBK)의 지분 중 절반을 내년 하반기까지 7천480억원에 매각한다는 계획이다.
PT 바얀리소스는 인도네시아 보유 광산을 통해 최근 3년간 순수익 10조2천536억원을 벌어들였으며 작년 순수익은 7조2천440억원에 달했다.
이에 발전 5개사는 PT 바얀리소스 지분으로 작년에만 각 1조4천488억원씩 순수익을 거뒀다.
그러나 발전5사가 보유 지분의 절반씩을 7천480억원에 매각하게 되면 7천억원이 넘는 수익을 낼 수 있는 지분을 불과 1천496억원에 처분하는 셈이 돼 '헐값 매각'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김경만 의원은 "석탄·원유·가스 등 발전연료 국제 시세가 연초 대비 5배 이상 급등한 만큼 PT 바얀리소스 지분 수익은 올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가지고만 있어도 막대한 이익이 발생하는 지분을 매각해야 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7월 인력 감축, 예산 절감, 자산 매각 등을 골자로 하는 '새 정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350개 공공기관은 지난 8월 말까지 가이드라인에 맞춘 혁신계획안을 기재부에 제출한 바 있다.
세계 최대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중국, 미국 등에 이어 한국에서도 3일 전기차 가격을 최대 14.3% 인하했다. 모든 트림(세부 모델)이 전기차 보조금 상한선인 8500만원 밑으로 내려오면서 판매 보조금 26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모델 3 판매가가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 기아 EV6 등과 비슷해진 만큼 판매 경쟁이 격화할 전망이다.테슬라는 한국에서 판매하는 모델 3의 세 개 트림, 모델 Y의 두 개 트림 가격을 모두 내렸다. 최저가 모델인 모델 3의 스탠더드 트림 판매가는 지난달 6434만원에서 이날 5990만원으로 5.6% 인하했다. 고성능 트림인 모델 3 퍼포먼스 가격은 같은 기간 8817만원에서 7559만원으로 14.3% 내렸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모델 Y의 롱레인지 가격은 8499만원에서 7789만원으로 8.4%, 모델 Y 퍼포먼스는 9473만원에서 8269만원으로 12.7% 떨어졌다.보조금을 아예 받지 못했던 고가 모델의 가격이 8500만원 미만에 형성되면서 모든 트림이 보조금 대상에 포함됐다.환경부가 지난 2일 고지한 보조금 규정에 따르면 5700만원 미만 전기차는 보조금 전액을 받을 수 있고, 5700만~8500만원은 50%, 8500만원 초과는 아예 받지 못한다. 테슬라는 국비 보조금 500만원의 절반인 250만원과 함께 10만원을 추가로 받아 260만원의 보조금을 수령한다.테슬라는 한국에서 트림에 따라 2021년에 3~4차례, 2022년에는 3~6차례 가격을 올렸다. 수요가 급증했던 지난해 6~7월 가격이 가장 높았다. 당시 모델 Y 퍼포먼스 판매가는 1억473만원에 달했고, 최저가인 모델 3 스탠더드도 7034만원에 판매됐다. 이후 금리 인상으로 차량 계약이 주춤하자 테슬라는 지난달 6일 차값을 소폭 내린 데 이어 이달 더 큰 폭으로 인하했다.현재 테슬라 모델 3
고려아연이 17년 만에 중간 배당을 재개했다. 회사 측은 “주주가치 제고”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다음달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표밭 다지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최 회장 일가는 그간 장형진 영풍그룹 회장 일가와 고려아연 지배력을 놓고 지분 경쟁을 해왔다.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3년간 연 1회 중간 배당을 하겠다고 지난 2일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의 30% 이상 배당 성향을 유지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 회사는 2000년 이후 9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30% 안팎의 고배당 정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중간 배당을 결정한 건 2006년 이후 처음이다. 회사 측은 “주주가치를 제고하려는 최고경영진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려아연은 고(故) 최기호·장병희 창업주가 공동으로 세운 기업이다. 두 가문은 70년 넘게 동업 관계를 지속해 왔다. 그러다 최근 들어 양쪽이 계열사 등을 동원해 지분을 경쟁적으로 사들이며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됐다. 현재까지 최 회장 일가가 29.14%(우호 지분 등 포함), 장 회장 일가가 31.95% 지분을 확보했다.‘트로이카 드라이브’ 등 성장 전략을 내세우며 지배 체제 확립에 나선 최 회장으로서는 이사회 주도권을 유지해 경영권을 안정화하는 데 사활을 걸 가능성이 크다. 그는 신사업뿐 아니라 온산 제련소 설비투자에도 3619억원을 쓰겠다는 투자 계획을 내놨다. 마침 최 회장 측에 우호적인 이사회 구성원 11명 중 6명의 임기가 오는 3월 24일 만료된다.장 회장 일가가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이사 후보를 추천하고 나설 경우 두 가문 간 갈등이 심화할 것이란 분
LS일렉트릭이 LG유플러스와 함께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하는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LS일렉트릭은 3일 서울 LS용산타워에서 LG유플러스와 ‘중견·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사업 확대’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양사는 이날 국내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선보이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LS일렉트릭의 스마트공장 플랫폼 ‘테크스퀘어’에 LG유플러스의 차세대 통신 기술을 접목하기로 했다. 테크스퀘어는 제조업체가 스마트공장을 원활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LS일렉트릭은 세계경제포럼(WEF)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충북 청주 스마트공장 구축 노하우와 테크스퀘어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기업 맞춤형 로드맵 수립, 멘토링, 기업 매칭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LG유플러스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제조 데이터 수집과 고장 진단 모니터링, 보안 솔루션 등을 저렴한 가격으로 지원한다.배성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