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디지털 대전환(DX)을 모색할 때 중점을 둘 부분으로 ‘생산성 향상’을 꼽는 목소리가 많다.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 위기’를 돌파할 가장 믿을 만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간 국내 중소기업들은 DX 도입에 나름대로 적잖은 공을 들여왔다.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낙후된 일터 환경을 개선하려 한 것이 대표적이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삼성전자의 지원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302개 중소기업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매출은 23.7%, 고용은 26.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여기서 혁신이 멈추면 ‘절반의 성공’에 그친다. 생산성 향상의 대상은 제조 혁신뿐 아니라 인사·성과 보상·기술 개발 등 전 분야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비용 절감 차원에서만 접근하면 100% 실패한다”며 “성과 보상 개선, 교육 훈련 강화, 신시장 개척 등 경영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혁신이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인 정부의 중소기업 DX 전략도 필요하다. 이명박 정부 시절 간헐적으로 나오던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대책 발표는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 6월을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췄다. 일하는 방식을 개혁하기 위해 노동기준법, 고용대책법 등 36개 노동 관련 법률을 정비했고 데이터 관련 사물인터넷(IoT) 투자 감세,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투자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생산성향상특별조치법을 2018년 시행한 일본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일본은 총리가 대표인 일본경제재생본부를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대책을 발표하고 있기도 하다.

최근 들어 중소기업 생산성에 관한 관심이 되살아나는 분위기는 긍정적이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연내 중소기업 생산성향상특별법(가칭) 제정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법엔 △일하는 방식 개선 △중소기업과 근로자 간 성과 공유 △규제 특례 △연구개발 지원 등의 방안이 들어갈 전망이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