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분기만에 적자 탈출…일본 노선 운항 확대 영향 제주항공이 지난해 4분기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으로 분기 실적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제주항공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4분기 매출 2천994억원, 영업이익 187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1% 증가했고, 영업손실도 영업이익으로 전환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두달간 증권업계 전망을 분석해 도출한 75억원을 약 150% 상회해 '어닝서프라이즈'(깜짝실적)라는 평가가 나온다. 제주항공의 분기 흑자는 2019년 1분기 이후 15개 분기만이다. 작년 연간 실적은 매출 7천25억원, 영업손실 1천775억원, 당기순손실 1천724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대비 157% 증가했고, 영업손실은 1천400억원가량 감소했다. 제주항공의 분기 흑자 전환은 선제적인 일본 노선 공급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10월 일본 정부의 무비자 입국 허용과 함께 도쿄(나리타), 오사카, 후쿠오카 등 주요 일본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지난해 국내선 여객 수도 650만여명으로 2020년부터 3년 연속 국내선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지난달에는 월별 항공 여객(국내선+국제선) 수에서 아시아나항공을 제치고 국내 항공사 2위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 항공 정보 포털시스템 실시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항공사별 여객 수는 대한항공이 139만명, 제주항공이 97만명, 아시아나항공이 96만명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일본 여행 증가로 실적 반등이 가속화됐다"며 "단일 기종 운용을 통한 비용 효율화 전략이 고환율, 고유가, 고금리 위기를 이겨내는 비결이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기 용인시는 처인구 원삼면 일대에 조성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부지의 토지 보상이 거의 완료됨에 따라 올해 상반기 토목공사가 추진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날 기준 반도체 클러스터 산단 부지 토지 보상은 99%, 지장물 보상(소유자 기준)은 75% 진행됐다. 이에 따라 사업시행자인 용인일반산업단지㈜는 소유권이 확보된 부지에 대해 올해 상반기부터 벌목과 가설 시설물 설치 등 본 단지 조성을 위한 토목공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SK하이닉스 중심의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와 수도권 최고의 입지를 자랑하는 용인 플랫폼시티가 'L'자형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벨트 조성이 본격화하고 있다"며 "향후 두 지역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산단은 용인일반산업단지㈜가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고당·죽능리 일원 415만㎡에 차세대 메모리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SK하이닉스는 이곳에 약 120조원을 투자해 4개의 반도체 생산 공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벌떼 입찰' 혐의…광주경찰, 지역 중견건설사 대표 등 검찰 송치 계열사들을 내세워 공공택지를 입찰받는 이른바 '벌떼 입찰' 혐의로 지역 중견건설업체 2곳을 수사 중인 광주 경찰이 A 건설사 관계자들을 검찰로 송치했다. 광주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7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공공택지 입찰에서 계열사를 동원해 낙찰률을 높인 혐의(업무방해)로 A 건설사 본사 대표와 계열사 대표 등 2명을 검찰로 송치(기소의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부산지역 공공택지 입찰에서 계열사를 동원해 입찰을 따낸 이른바 '벌떼 입찰'을 한 혐의가 적발돼 국토교통부가 수사 의뢰했다. 국토교통부는 다른 건설사도 수사 의뢰했는데 3곳은 서울경찰청이 수사 중이고, 2곳은 광주경찰청이 맡아 A 건설사만 먼저 송치했다. 현행법상 아파트 용지는 한 건설사가 하나의 입찰권만 행사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당첨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계열사나 가짜 회사를 내세워 입찰에 나서는 '벌떼 입찰'이 횡행하고 있다. 벌떼 입찰은 당첨 확률을 부당하게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회사 설립·유지 경비까지 분양가에 전가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광주경찰청 관계자는 "수사가 먼저 끝난 건설사 관계자들을 송치했다"며 "다른 건설사에 대해서는 수사가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