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뉴스1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뉴스1
한국은행이 25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8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했다. 이로써 국내 기준금리는 연 2.25%에서 2.5%로 상승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건 올해 들어 네 번째(4·5·7·8월)다. 역대 첫 4회 연속 인상으로 앞서 7월엔 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이 단행된 바 있다. 국내 기준금리가 연 2.5%로 복귀한 건 2014년 7월 이후 8년여만이다.

시장에서도 한은이 0.25%포인트 금리를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점쳤다. 연속 빅스텝은 부담스럽지만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 긴축 기조와 한미 금리 역전으로 인한 우려로 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한은의 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인상 전망의 가장 중요한 근거는 물가 압력이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108.74)는 외식·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3% 상승했다. 이는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이달(4.3%) 처음으로 꺾였지만 여전히 4%대를 웃돌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지난달 금통위 직후 "국내 물가흐름이 현재 전망하고 있는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당분간 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도 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지난달 미국 Fed가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미국 금리 상단은 2.5%로 올랐다. 이번 한은의 금리인상으로 양국의 금리는 같아졌지만 Fed가 내달 빅스텝(0.5%p인상) 이상을 밟을 경우 또 다시 금리가 역전돼 국내 금융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는 한미 금리차가 역전돼도 외국인 자본이 대거 유출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지만, 외환시장에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 점은 우려 요인이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초강세로 1345원대를 돌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로 올라선 상태다.

한편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조정과 함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7%에서 2.6%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5%에서 5.2%로 올려잡았다. 이번 물가전망치(5.2%)는 1998년 이후 최고 수준(98년 연간 전망치 9.0%)으로, 한은이 1998년 4월 물가안정목표제를 시행한 이후 가장 높은 전망치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