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 사진=뉴스1
김주현 금융위원장. 사진=뉴스1
김주현 금융위원장의 취임으로 공석이 된 여신금융협회장 인선 작업이 본격화된다. 민간 및 관료 출신 인사가 골고루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금융당국과 소통이 원활한 관료 출신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빅테크 기업과 경쟁 등 요인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한 만큼 당국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절실한 시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17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12일 마감된 협회장 공모에 총 6명이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신금융협회는 오는 23일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를 열고 3명의 쇼트리스트(적격 후보)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쇼트리스트를 대상으로 면접 절차를 거쳐 최종 후보 1인을 선발한 뒤, 회원사 총회에서 찬반 투표로 최종 선임이 확정된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입후보 마감 결과 총 6명이 지원했으나 개인정보인 관계로 명단은 공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1차 회추위 직후 3명의 쇼트리스트를 밝힐 예정이고 최종 선임 시기는 8월 중순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사, 캐피탈사 등 국내 전(全) 여신전문금융회사를 관할하는 여신금융협회장 자리를 두고 민관 대결 구도가 다시금 형성되는 모양새다. 여신금융협회장의 경우 임기는 3년, 연봉은 4억원 수준으로 금융권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기관장 자리로 꼽힌다. 김주현 전 협회장이 금융위원장 자리에 오르면서 여신금융협회장 위상이 한층 더 높아진 점도 간과할 수 없는 사안이다.

현재 전직 관료 출신의 출마 후보군으로는 남병호 전 KT캐피탈 대표, 정완규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등이 거론된다. 민간 출신으로는 서준희 전 비씨카드 대표, 박지우·오정식 전 KB캐피탈 대표 등이 언급된다. 공모 마감 직전까지 줄곧 하마평에 오르내렸던 위성백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은 불출마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위 관료 출신 협회장 임명될까…업계 "당국 소통 절실"

업계에서는 전직 고위 관료 출신 협회장이 임명되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DSR 규제 강화, 빅테크 기업과 경쟁 등 요인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한 만큼 금융당국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절실한 시기라고 판단한 영향이다. 실제 여신금융협회장은 2010년 상근직 전환 이후 KB국민카드 대표이사를 지낸 김덕수 전 협회장을 제외하면 모두 관료 출신이 자리한 바 있다.

여신전문금융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각종 규제로 애로사항이 존재하는 만큼 당국과 원활히 소통해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관료 출신 협회장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국 내부 사정을 잘 알고 다수 경험을 거쳐온 관료 출신 협회장들의 성과가 좋기도 했다"며 "김주현 전 협회장의 업계 내 평판이 좋았던 것 또한 관료 출신 협회장 취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물론 최근 국내 금융 관련 협회장과 공공기관 수장에 민간 출신 인사들이 줄이어 기용된 점을 고려하면 민간 출신 협회장이 임명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옛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출신 관료를 의미하는 '모피아' 조직으로 통하던 수출입은행장 자리에 변화가 생긴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달 수출입은행장으로는 처음으로 공채 출신 윤희성 행장이 취임한 바 있다. 올해 초 권남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도 22년 만에 첫 내부 출신으로 수장 자리에 올랐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전 하나저축은행 대표) 또한 처음으로 업계 출신 중앙회장에 이름을 올린 경우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 여론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단 점도 민간 출신 협회장 임명 가능성을 키우는 요소 중 하나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말 취임한 지 약 80일 만에 국정 수행 지지율이 20%대로 떨어진 바 있다. 최근 국정 수행 지지율이 소폭 반등세를 보였으나 관료 출신 협회장 임명 시 낙하산 인사 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만큼 이에 소극적으로 반응할 수 있단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인사, 채용에 대해 더욱 엄격하게 공정성을 요구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관료 출신의 경우 낙하산 인사 논란을 키울 수 있어 여신금융협회장 자리 인사 향방을 가늠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