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원짜리 된장백반·목욕 더는 힘들어" 문패 반납 움직임충북도와 시·군 이용 주간 운영·광고 지원 등 지원책 모색 "우리는 그나마 저녁 장사고 단골도 많아 버티는 거지, 안 그랬으면 진작에 밥값 올렸어야지…." 25일 청주시 우암동 대로변에서 25년째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모(62)씨의 하소연이다. 20평 남짓한 공간에 좌석 30개 정도인 그의 식당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주변 직장인과 홀로 사는 어르신들의 발길이 꾸준한 곳이다. 쌈밥정식, 수육, 시골 청국장 등 여러 음식 중 김씨가 내세우는 대표 메뉴는 된장 백반. 뜨끈한 된장찌개와 다섯 가지 반찬이 올라오는 데 가격은 단돈 5천원이다. 청주시는 2012년 시민 추천을 받아 그의 음식점을 '착한가격업소'로 지정했다. 이후 그는 '착한가격'이 주는 책임감 때문에 단 한 번도 가격을 올리지 않았다. 그 사이 식재료값이 연거푸 오르면서 수지 맞추기가 힘들어졌지만, 그는 뻔한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고려해 이윤을 줄여가면서 손님을 받았다. 그러나 지난해 이후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물가에 그는 한계 상황이다. 김씨는 "3개에 2천원 하던 호박이 지금은 하나에 2천원"이라며 "대파 등도 50% 가까이 올라 5천원짜리 메뉴를 유지하는 게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호소했다. 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동종의 다른 업소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던 착한가격업소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되면 이를 알리는 문패와 함께 상하수도료 감면, 종량제 봉투 제공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뿐만아니라 어려운 이웃과 정을 나누고, 물가 안정에 기여한다는 자긍심도 크다. 그러나 암울했던 코로나19 터널에서 빠져나오
카카오 공개매수 흥행에 전량 매도 어려워…소액주주, 기관 대거 참여에 원성 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SM) 보유 지분을 카카오의 공개매수에 참여해 처분하겠다고 밝혔으나 전량을 팔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남은 SM 주식을 당분간 보유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카카오의 SM 공개매수가 모두 끝나고 난 뒤 SM 주가가 급락하면 당장 수백억원대의 평가손실을 떠안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가 주당 15만원에 SM 발행주식의 35%를 사들이는 공개매수는 목표 물량을 넘어서는 '오버 부킹'으로 마무리됐다. SM 지분 15.78%를 가진 최대주주 하이브와 지난해 말 4.2%를 취득한 컴투스는 보유하고 있던 SM 주식 전량을 카카오의 공개매수에 참여해 처분할 방침이다. SM 소액주주들도 대거 공개매수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공개매수 사무 취급 증권사인 한국투자증권 각 지점엔 청약 마감 당일은 물론, 이틀 전부터 일반주주들이 몰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는 목표한 물량(833만3천641주) 이상으로 청약이 들어오면 초과분은 매수하지 않고 안분비례로 매수물량을 할당한다. 이런 까닭에 SM 주주는 보유한 주식을 다 팔지 못할 수 있다. 매수 주체인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15.78%), SM의 자기주식(1.3%), 일찌감치 공개매수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힌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1.1%) 등을 제외하고 모든 기관·개인이 공개매수에 참여했다고 가정하면 공개매수 청약이 가능한 주식 수는 2천207만여주로, 청약 경쟁률은 최고 2.65 대 1로 추산된다. 이 경우 공개매수 참여자들은 내놓은 물량의 37% 정도만 카카오에 매각할 수 있으며, 하이브는 보유 중인 353만7
BYC와 KISCO홀딩스, 한국철강 등을 상대로 소액주주연대와 행동주의펀드 등이 제출한 주주제안이 24일 주주총회에서 잇따라 부결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열린 BYC 정기주주총회에서 트러스톤자산운용이 제안한 감사위원 선임, 배당 확대, 자사주 취득, 액면분할 등 안건은 모두 통과되지 못했다. 같은 날 KISCO홀딩스와 그 계열사인 한국철강의 정기주주총회에서도 소액주주가 낸 주주제안은 줄줄이 부결됐다. 소액주주연대는 두 회사에 감사위원 선임과 자사주 매입 등을 요구해왔다. 트러스톤자산운용은 주주총회 뒤 입장문을 내고 "BYC가 '3%룰'(상법에서 감사 선임 시 대주주가 행사할 수 있는 의결권을 3%까지만 인정하는 제도)을 적용하지 못하게 감사위원은 사외이사로 한정한다고 정관을 변경하는 등 소수주주를 무시하는 꼼수를 부렸다"며 BYC 전현직 경영진과 대주주를 상대로 형사 고발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주총 결과와 관계없이 BYC에 대한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앞으로도 지속해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