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매체 "자택서 연행 뒤 외부와 연락 끊어져"
칭화유니 키운 중국 '반도체 거물' 연행설
'중국의 반도체 항공모함'으로 불리는 칭화유니(紫光集團)를 사실상 창업한 자오웨이궈 전 칭화유니 회장이 당국에 연행돼 조사를 받고 있다고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이 26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차이신은 자오 전 회장이 이달 중순 베이징 자택에서 연행됐으며 현재 외부와 연락이 끊어진 상태라고 전했다.

이번 조사가 자오 전 회장이 공개 입찰을 거치지 않고 칭화유니 계열사의 설비 구매, 인테리어 공사 등을 자신이 지배하는 개인 회사에 맡기는 방식으로 회사의 이익을 부당하게 빼돌렸다는 의혹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자오 전 회장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반도체 기업 중 하나인 칭화유니를 사실상 창업한 인물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졸업한 칭화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그는 인터넷, 부동산, 에너지 등 여러 사업에 종사하다가 2009년 칭화대가 운영하는 학교 기업인 칭화유니 최고경영자(CEO)로 영입돼 회사 경영 방향을 반도체 중심으로 돌렸다.

이듬해 그는 적자에 빠진 칭화유니에 출자하면서 이 회사 지분을 49%로 높였고 51%를 가진 지배주주인 칭화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회사를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육성시켰다.

칭화유니의 자산 규모는 2009년 말 기준 133억 위안(약 2조6천억원)에 불과했지만 2019년 말에는 2천978억 위안(약 58조원)으로 늘어났다.

사업 범위도 스마트폰용 SoC(시스템온칩),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등을 망라하면서 '반도체 항모단'의 체계를 갖췄다.

그러나 대출과 채권 발행 등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대형 인수·합병(M&A)에 나서 유망 기업을 '뱀이 코끼리를 삼키는 방식'으로 사들인 경영이 결국 유동성 위기로 이어졌다.

부실 논란 속에서 칭화대가 2018년 그에게 등을 돌리고 학교 기업 개혁에 착수하면서 칭화유니는 더는 '돌려막기'를 할 수 없었고 결국 2020년 11월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작년 6월 말 기준 채무가 1천567억 위안(약 30조5천억원)에 달했던 칭화유니는 결국 법원의 파산구조조정 절차를 거쳐 약 600억 위안(약 11조7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한 사모펀드 컨소시엄에 지분이 100% 넘어가면서 주인이 바뀌었다.

칭화유니를 인수한 사모펀드에 실제 인수자금을 댄 곳에는 중국의 여러 지방 정부와 국유기업들이 대거 포함돼 시장에서는 당국이 칭화유니 살리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자오 전 회장은 당초 당국의 자금 지원을 받아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고 경영권을 유지하고자 했으나 파산구조조정 과정에서 배제되자 공개적으로 격렬하게 반발했는데 업계에서는 이 과정에서 그가 당국에 미운털이 박혔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그는 새 전략투자자 유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채권단 회의를 앞둔 작년 12월 회사가 지나친 헐값으로 매각돼 막대한 국유자산 손실이 초래될 것이라는 공개 성명을 냈는데 이는 사실상 당국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이라는 점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그렇지만 채권단 표결에서 90% 이상의 지지로 국가 주도 사모펀드 컨소시엄 인수 방안이 통과되면서 '자오웨이궈의 난'은 곧바로 수습됐다.

당시 심지어 자오웨이궈조차 공개적으로 반대하던 안건에 투표해 '보이지 않는 손'의 개입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