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년 예산 편성과 관련 "2010년 이후 최초로 전년 대비 대폭 감소한 수준의 예산편성을 할 것"이라면서 공공 부문에서는 장·차관급 이상 공무원의 급여를 10% 정도 반납하겠다고 밝혔다.추 부총리는 13일 강원도 강릉 고랭지 배추밭에서 작황 현장 점검을 마친 뒤 간담회에서 "예년에 없이 굉장히 강하게 허리띠를 졸라매고 예산 편성 작업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2010년 이후부터 매년 본예산이 당연하게 이전 해 추경보다도 높은 수준에서 편성됐다"며 "특히 전 정부에서는 여러 차례 추경을 편성했음에도 본예산을 이보다도 높은 수준에서 짜 예산이 폭증하다시피 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최근에는 다음 해 본예산을 편성할 때 그해 지출보다 증가한 상태에서 예산을 편성했으나 내년 본예산은 올해 추경을 포함한 규모보다 대폭 낮은 수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올해 예산은 두 차례의 추경을 포함해 총 679조5000억원에 달했는데, 내년은 이보다 상당폭 적은 수준이 될 것이라는 의미다.정부 예산은 10년 넘게 전년 대비 계속 증가해 왔다. 다음 해 본예산 총지출이 전년 전체 지출보다 작아지는 것은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지출 구조 조정을 위해 공공 부문에서는 우선 내년도 장·차관급의 월급을 10% 가량 반납하겠다는 방침이다.추 부총리는 "(어려운 상황에서) 공공 부문의 솔선수범 차원에서 장·차관급 이상의 임금은 동결하되 10%를 반납하도록 할 것"이라면서 하위직 공무원 보수에 대해선 "현재 물가 수준과 공무원의 사기, 국민의 공공 부문에 대한 솔선수범 기대치 등을 종합
"물가 상승률, 6% 초반 횡보하다 내려갈 것…7% 안 가고 5%대 멀지 않아" 정부가 내년 본예산 총지출 규모를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올해 지출보다 줄이기로 했다. 공공 부문의 솔선수범 차원에서 장·차관급 고위 공무원의 보수는 10%를 반납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고랭지 배추 재배지인 강원도 강릉 안반데기를 방문한 뒤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추 부총리는 "최근에는 다음 해 본예산을 편성할 때 그해 지출보다 증가한 상태에서 예산을 편성했으나 내년 본예산은 올해 추경을 포함한 규모보다 대폭 낮은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내년 본예산 총지출이 올해 2차 추경까지 합친 총지출 679조5천억원보다 상당폭 적은 수준이라는 의미다. 올해 본예산 상 총지출은 607조7천억원이었으나 2월 16조9천억원, 5월 62조원 상당의 추경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총지출 규모가 679조5천억원까지 불어났다. 다음 해 본예산 총지출이 전년 전체 지출보다 작아지는 것은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추 부총리는 이어 "현재 역대 최대 수준의 지출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며 "부채의 증가 속도를 줄이는 차원에서 국고채 발행도 조금 줄여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어려운 상황에서) 공공 부문의 솔선수범 차원에서 장·차관급 이상의 임금은 동결하되 10%를 반납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위직 공무원 보수에 대해선 "현재 물가 수준과 공무원의 사기, 국민의 공공 부문에 대한 솔선수범 기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마지막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고물가 흐름에 대해서는 "(상승률이) 6% 초반에서 좀 있다가 그다
호우 피해 신속 복구…수급 불안 땐 '비축물량 즉시 공급'내년 채소가격안정제 예산 100억원 늘려 가입 물량비중 23%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강원 강릉 안반데기 고랭지 배추밭을 찾아 작황을 점검하면서 추석 물가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집중호우가 발생한 중부권 관련 품목을 중심으로 성수기 수급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특별히 관리하고, 농산물 수급이 불안하면 정부 비축, 출하조절 시설과 채소가격안정제 물량 등을 즉시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고랭지 배추의 생육상태와 출하 계획을 점검하고 현지 농업계 의견을 들었다. 안반데기 배추밭은 해발 1천∼1천200m 고랭지에 있는 대표적인 여름철 배추 재배지로, 195㏊(헥타르·1㏊=1만㎡) 면적에서 연간 1만1천500t(약 480만포기)의 배추를 생산한다. 출하 시기는 8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다. 추 부총리는 "배추의 경우 최근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나 유실 피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지만, 추석 성수기 생육 관리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김시갑 무배추 공동출하회 연합회장은 "강릉권과 대관령 지역은 현재로선 작황이 상당히 양호한 편"이라며 "(최근 집중호우 때) 이곳에도 비가 350㎜ 이상 내렸지만 이 지역은 물이 잘 빠져 침수 걱정은 없다"고 말했다. 유영환 대관령원예농업조합장은 "앞으로 고온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느냐에 따라 생산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추 부총리는 "걱정을 많이 했는데 다행히 현재까지 작황이 좋다고 해 다소 안도가 된다"며 "배추가 최대한 원활히 전달돼 소비자들이 안정된 가격으로 (배추를) 소비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