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전망치 낮추고 '마이너스 현금흐름' 예고…52조원 들여 새 공장도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잇따라 수요 부진을 이유로 실적 전망을 낮추고 있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 최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인 마이크론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쓰이는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계속 약화함에 따라 2분기 매출이 종전 예측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공시했다. 당초 마이크론은 2분기 매출을 68억∼76억달러(약 8조9천억∼9조9천억원) 사이로 내다봤으나, 이러한 예상 범위의 최하단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이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72억8천만달러를 하회하는 것이다. 3분기에도 매출이 상당히 줄어들고 영업 마진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마이너스 현금흐름을 기록할 수 있다고 마이크론은 예고했다. 회사 측은 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전쟁, 핵심 컴퓨터 시장인 중국에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규제 등으로 수요가 악화하고 공급망이 더 꼬인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론은 2023 회계연도의 자본지출을 전년보다 상당폭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론의 우울한 전망은 전날 미국의 그래픽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2분기 매출이 전분기보다 19% 감소할 전망이라고 밝힌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전 세계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인공지능(AI) 연산용 반도체 시장을 지배하는 엔비디아는 고사양 그래픽카드를 비롯한 게임 부문 매출이 전분기 대비 44%, 전년 동기 대비 33% 각각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미국의 또 다른 반도체 회사 AMD도 지난주 PC
금감원, 지난달 패스트트랙으로 사건 이첩…'먹튀' 의혹 본격 수사 검찰이 쌍용자동차 인수 불발로 '먹튀' 의혹이 제기된 에디슨모터스와 관계사에 대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단(단장 단성한)은 이날 에디슨모터스와 관계사들을 압수수색해 쌍용차 인수와 관련된 자료들을 확보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에디슨모터스의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 혐의를 포착해 사건을 서울남부지검에 이첩했다. 이복현 금감원장 취임 이후 첫 패스트트랙(신속 수사전환) 사건으로 알려졌다. 에디슨모터스는 지난해 10월 쌍용차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인수·합병(M&A) 계약까지 체결했다. 당시 에디슨모터스의 자금조달 창구였던 에디슨EV(현 스마트솔루션즈)는 쌍용차 인수 추진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다. 작년 5월 중순까지만 해도 1천원대(이하 수정주가 적용)에 불과하던 에디슨EV의 주가는 지난해 6월 한 달 동안 2천308원에서 1만178원으로 340% 넘게 뛰었고, 11월엔 장중 8만2천4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디엠에이치 등 에디슨EV의 대주주 투자조합이 주식을 대부분 처분하고 차익을 실현해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결과적으로 에디슨모터스가 인수대금 잔금을 납입하지 못하면서 합병은 무산됐다. 이 소식에 지난 3월 에디슨EV 주가는 하한가를 기록했고 5월엔 채권자 8명이 법원이 파산 신청서를 냈다가 취하하기도 했다. 에디슨EV는 외부회계법인으로부터 작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 거절'을 받고 사유 해소 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아 주식 거래가 정지되기도 했다. 이후 이의신청서를 제기해 내년 4월 10일까지 개선기간을
중부지방에 쏟아진 폭우로 전통시장 상인들의 피해가 속출하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재원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9일 오후 6시30분께 경기 과천시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비상점검회의를 열고 각 지방청에 "(소상공인들의) 재난 상황 극복과 일상으로의 복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원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바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수도권 소재 전통시장 48곳에서 침수와 누수 피해가 확인됐다. 서울에서는 시장 20곳의 점포 400여개에서 피해가 발생했고 경기에서는 시장 23곳의 140여개 점포, 인천에서는 시장 5곳의 점포 200여개에서 각각 침수·누수가 확인됐다. 인천 중구 신포국제시장에서는 빗물이 역류하면서 수위가 올라 60개 점포가 침수 피해를 봤다. 또 저지대에 위치한 인천 미추홀구 제일시장의 경우 대부분의 점포가 침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집중 호우가 계속되는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지역과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조주현 중기부 차관은 이날 폭우 피해를 본 서울 동작구 성대전통시장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피해 복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