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환율…은행 '간편환전'으로 수수료 아끼는 팁 [송영찬의 핀테크 짠테크]
주식투자 인구 1400만 시대. 투자하면서 나도 모르게 나가는 '새는 돈'을 잡기 위한 짠테크 수단에 대해 설명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주코노미TV> 채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일 원·달러 환율은 치솟고 원·엔 환율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을 보면, 4월 한 달 동안에만 달러예금 잔액은 731억8000만 달러로 전월대비 53억7000만 달러가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엔화예금 잔액도 소폭 줄었지만, 지난해 말 이후 계속해서 감소추세에 있는 달러예금과는 달리 5대 은행의 엔화예금 잔액은 지난해 말 이후 22% 늘었습니다. 환율이 오른 달러는 팔고, 환율이 떨어진 엔화는 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겁니다.
복잡한 환율의 세계
![요동치는 환율…은행 '간편환전'으로 수수료 아끼는 팁 [송영찬의 핀테크 짠테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78545.1.png)
환테크는 환율 변동폭이 클 때 단기 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세금이 붙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살 때와 팔 때의 환율이 다른 탓에 이 갭에 해당하는 만큼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당연히 환테크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외화를 사고팔 때 발생하는 환전수수료를 최대한 아끼는 게 중요합니다.
최근 사는 데 더 관심 많으실 엔화 기준으로 얘기해보려 합니다. 20일 현재 원-엔 기준환율은 100엔 당 약 956원입니다. 하지만 현찰 살 때의 환율은 약 973원입니다. 환전수수료라는 것은 간단히 말하면 바로 기준 환율에서 추가되는 17원을 말합니다. 환율 우대가 100% 된다는 것은 간단히 말하면 이 17원이 면제된다는 걸 의미하고, 우대환율이 80% 제공된다는 걸 가정하면 17원의 80%인 13.6원이 면제되고 100엔당 3.4원의 수수료만 붙는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렇게 되면 100엔 당 기준환율 956원에 수수료 3.4원을 더한 964.4원에 사게 되는 것이죠.
![요동치는 환율…은행 '간편환전'으로 수수료 아끼는 팁 [송영찬의 핀테크 짠테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78546.1.png)
현찰 팔 때의 환율은 100엔 당 939원으로 이보다 더 쌉니다. 아무런 환율 우대 없다는 조건하에 현찰 살 때 환율과 현찰 팔 때 환율 간 차이가 32원에 달합니다. 다시 말하면 환테크로 손해보지 않으려면 엔화가 최소 32원은 올라야 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래서 사고 팔 때의 수수료 아끼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환테크 할 땐 무조건 외화계좌가 유리?

외화예금과 이런 간편 환전 서비스는 적용되는 환율의 종류가 다릅니다. 간편 환전 서비스는 우리가 환테크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실제로 환율이 낮을 때 환전을 미리 해놓고 해당 은행 지점에서 현찰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인 만큼 현찰 살 때의 환율이 적용됩니다.
많은 분들은 현찰 살 때 환율보다 전신환매도율이 더 낮으니 전신환매도율이 적용되는 외화예금이 더 유리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우대환율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80~90%의 우대환율이 적용되면 기준환율과 매우 근접해지기 때문에 우대환율이 적용되지 않은 전신환매도율보다 낮은 게 일반적입니다.
비교를 위해 직접 환전을 해봤습니다. 국민은행의 간편 환전 서비스인 외화머니박스와 일반 외화정기예금 계좌를 놓고 비교해봤습니다. 100엔당 기준환율 961원을 가정해 국민은행 외화머니박스와 일반 외화정기예금 계좌를 비교해봤습니다. 외화머니박스는 현찰을 살 때 환율에 우대환율 80%가 적용돼 100엔당 966.44원이었습니다. 반면 외화정기예금은 100엔당 969.69원으로 3원가량 비쌌습니다. 외화머니박스의 경우 갖고 있던 외화를 현금으로 되팔 때도 같은 환율우대가 적용되기 때문에 환테크 용도로는 오히려 외화머니박스가 유리하단 걸 알 수 있습니다. 각 은행들의 간편환전 서비스는 주로 해외여행자를 겨냥해 출시된 만큼 환율이 낮을 때 미리 온라인으로 환전해두고 출국 전 현찰로 찾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요동치는 환율…은행 '간편환전'으로 수수료 아끼는 팁 [송영찬의 핀테크 짠테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78556.1.png)
환율우대 100%가 있다고?
환전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선 외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이벤트를 눈여겨보는 것도 중요합니다.![요동치는 환율…은행 '간편환전'으로 수수료 아끼는 팁 [송영찬의 핀테크 짠테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78557.1.png)
국민은행은 다음달 29일까지 'KB 투테크 외화정기예금'이라는 상품에 신규 가입하면 환율우대 100%를 적용해줍니다. 이 상품 같은 경우엔 목표환율을 지정해서 매일 고시되는 첫 번 째 환율이 목표환율 이상이면 자동해지되게 해서 일정한 환차익을 노리는 사람들을 겨냥했습니다. 단 미국 달러만 가능합니다.
주식 거래를 신한금융투자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신한은행의 '외화체인지업' 예금 상품도 눈여겨볼 만 합니다. 입출금이 자유롭고 해외주식 거래를 이 계좌를 통해서 바로 진행이 가능하다는 게 장점인데요. 현재 신규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KT로밍에그 1일 무료쿠폰하고 롯데면세점 제휴머니 지급 등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