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기준 국내에서 운행 중인 전기자동차가 3년 새 4배로 늘어난 18만 대로 집계됐다. 전기차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운행거리가 길고 배터리 등의 특수부품이 비싸 보험료도 일반 차량 대비 23%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전기차 자동차보험 현황 및 감독 방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전기차는 18만3829대로 2018년(4만5892대)보다 301% 증가했다.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책임·종합보험) 가입 건수는 사실상 운행 중인 차량 전체를 의미한다.

작년 말 기준 전기차의 평균 보험료는 94만3000원으로 비(非)전기차(내연기관 차량+하이브리드차)의 평균 보험료(76만2000원)보다 18만1000원 비쌌다. 평균 차량가액이 4236만원으로 일반 차량(1597만원)의 2.7배에 달해 자기차량손해(자차) 보험료가 높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전기차 주행거리도 대체로 일반 차량에 비해 길었다. 2020년 마일리지 특약 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간 운행거리가 1만5000㎞를 넘은 전기차 비중이 24.2%로 비전기차(10.3%)의 2.3배였다. 주행거리 대비 연료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데다 애초 전기차를 선택한 차주의 운행거리가 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기차 사고율이 작년 기준 18.1%로 비전기차(16.0%)보다 2.1%포인트 높은 이유도 운행거리가 긴 탓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기차의 자차 수리비는 평균 245만원으로 비전기차보다 57만원 많았다. 고전압 배터리나 전자제어장치 등 고가 부품이 많은 특성 때문이다. 보험사의 손해율(보험료 대비 지급보험금)도 전기차가 76.0%로 비전기차(74.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전기차가 보급 초기 단계이고 고전압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의 통일된 진단 및 수리 기준이 갖춰지지 않아 고가의 수리비를 물지 않으려면 전용 특약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재 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전기차 전용 특약은 △배터리 신품 가액 보상 △충전 중 사고 보상 △전용 초과수리비 지원 특약 등이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