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아직 고점 도달 안 했는데 하반기에 저성장 예상"
현대硏 "가계 실질구매력 확충·규제완화로 투자 활성화 등 필요"

연구원은 6일 발표한 '저성장-고물가 함정에 빠진 한국 경제'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경제 동향과 경기 상황에 대해 이같이 분석했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4%로,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원은 특히 수입 물가를 통한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이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풀이했다.
4월 중 수입 물가 상승률(35%)과 생산자물가 상승률(9.2%) 모두 3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높은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
연구원은 "2021년 4∼7월 이례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가 낮았던 점을 고려하면 기저효과 등으로 향후 수개월 동안 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2분기 경기 동향에 대해 수출은 호조를 보이나, 내수 부문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방역 상황이 개선되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충격에 대한 민간의 적응력은 강화됐지만, 인플레이션이 경제 심리를 악화시키면서 소비가 침체 국면에 있다는 것이다.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한 정부의 정책 대응이 미흡하다면, 민간 경제 주체의 경제 심리가 위축되면서 불황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내놓았다.
연구원은 "중립적인 시나리오에서는 올해 3분기 이후 미약한 경기 회복 또는 횡보 국면이 이어지는 '저성장'을 예상한다"면서 "정책 대응이 실기(失期)할 경우 '경착륙' 또는 '침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경제가 저성장·고물가 국면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시적 물가 안정 노력과 통화정책의 예측 가능성 확보를 통해 가계의 실질 구매력 확충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한 공급망 안정화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