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수 한국카본 회장(사진)은 31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이번 C2I 인수계약은 항공산업으로 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것”이라며 “항공기 날개와 드론, 인공위성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특수소재를 개발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확대할 것” 이라고 했다.
○항공기 부품 사업 진출 가속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한국카본은 CFRP·GFRP와 같은 복합소재를 연간 약 21만㎢ 생산하는 국내 1위 기업이다. 주 고객사는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사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미국 걸프스트림 등 항공기 제조사다. 매출 구성은 수출 70% 내수 30% 이다.
올해 매출은 작년 대비 약 11% 감소한 매출 3275억원에 영업이익 215억원으로 예상된다. 업계 특성상 계약 후 약 2년 뒤에 실제 매출이 발생하는데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선박 발주가 적었기 때문이다.
CFRP는 탄소 분자가 사슬처럼 이어진 실로 짠 탄소섬유에 합성수지를 합쳐 만든 복합소재다. 무게는 강철의 5분의 1수준이면서 강도는 강철의 10배 이상이다. 낚싯대부터 시작해 자동차 경량화소재,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저장탱크까지 사용된다.
한국카본의 현재 주력 제품은 LNG·액화수소 운반선용 보랭자재(RSB·FSB·MLI)다. CFRP·GFRP에 추가로 니켈강, 스테인리스강, 폴리우레탄 등 여러 소재를 겹쳐 만드는 보랭자재는 액화수소 기준 영하 253도까지 견딘다. 조 회장은 “열에 의해 소재가 수축·팽창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열팽창계수를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은 한국카본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C2I 인수로 한국카본의 항공 산업 진출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조 회장은 “유럽과 미국 항공기 제조사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설계부터 마감까지 함께 할 소재·부품사를 원했다”며 “C2I는 매출 100억원 규모 항공기 내장재 및 자동차 경량화 부품 제조기업으로 그리 큰 회사는 아니지만 유럽 시장 진출을 본격화 한다는데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0.1㎜ 탄소복합소재 개발해 위성 적용
한국카본은 미래 먹거리로 수년째 항공 산업을 키우고 있다. 2014년부터 항공기용 복합소재 사업 진출을 준비한 한국카본은 2018년 이스라엘 국영방산업체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과 합작사 KAT를 설립하며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개발에 뛰어들었다. 작년 8월 걸프스트림의 중형 제트기 G280의 꼬리날개 구조물 공급계약을 290억원 규모로 체결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낸 한국카본은 이외에도 KAI가 만드는 국내 최초 민항기 KC100의 내장재와 유럽 항공사 컨소시엄기업 에어버스의 민항기 A350 내장재도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박형 탄소섬유복합소재(CUPF)를 개발해 우주로도 진출하고 있다. CUPF는 기존 CFRP 두께의 12분의 1(0.1㎜)에 불과하다. 같은 크기의 제품을 만들때 20% 이상 경량화 할 수 있다. 조 대표는 “한국 차세대 중형위성 본체에 제품을 적용하기 위해 KAI와 각종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한국카본이 LNG·액화수소 운반선 수주량 증가와 항공·우주 등 신사업 진출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금융투자는 한국카본의 내년 실적을 매출 4337억원에 영업이익 406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대비 각 30%, 8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한국카본은 조 회장의 부친인 조용준 한국화이바 회장이 1984년 설립했다. 탄소섬유를 이용한 낚싯대와 테니스라켓 등을 제조했다. 한때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낚싯대의 80%가 한국카본 제품이었다. 중국산 저가 제품의 물량 공세에 주력 사업을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 옮겼다. 동국대 화공과를 졸업한 조문수 회장은 1983년 한국화이바 기획실장을 거쳐 2008년부터 한국카본의 경영을 맡고 있다. 한국카본 주가는 4월 8일 1만750원에서 꾸준히 상승해 지난달 6일 1만4400원을 찍은 뒤 소폭 감소한 상황이다.
케이프투자증권은 30일 한국카본에 대해 한국 조선업계가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을 대량으로 수주한 데 따른 수혜가 내년부터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김용민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LNG운반선이 인도되는 시점보다 1년 정도 빨리 보냉재를 납품해 올해 매출액은 2023년 LNG선 인도량에 따라 결정된다”며 “본격적인 업황 개선세는 내년 실적부터 반영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올해 실적을 결정지을 내년 LNG운반선 인도량은 30척에 그치지만, 2024년에는 51척으로 늘어난다.새로운 화물창 기술이 나온 데 따라 중장기적으로 고객사를 확대할 가능성도 점쳐졌다. 프랑스의 엔지니어링업체 GTT는 최근 NO96 Super+ 화물창 설계를 내놨는데, 여기에는 폴리우레탄폼이 사용돼 기존 설계(NO96 LO3+) 대비 일일 LNG 기화율(BOR)이 0.015% 적은 것으로 전해졌다.김 연구원은 “BOR이 낮은 기술이 무조건적으로 채택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신기술은 시범적인 채택 이후 운항을 통한 시장 내에서의 실증 과정을 거친 뒤 보펴화된다”며 “이를 고려하면 NO96 Super+를 통한 (한국카본의) 매출 증대를 단기간 내에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했다.다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고객사 확대라는 점은 분명한 주가 상승 트리거(방아쇄)”라고 덧붙였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반짝이는 것은 더는 세련되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택이나 윤이 나지 않는 무광(無光) 색상 디자인이 주방 인테리어 시장에서 급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인테리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는 주방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영향이다.13일 인테리어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방가구 시장은 지난해 1조8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2018년 1조6000억원에서 3년 만에 12.5%가량 성장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재택근무, 홈스쿨링 등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인테리어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한 영향이다.양적 성장 못지않게 주목되는 점은 질적 변화다. 인테리어 소비층이 기존 중장년층에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로 넓어지면서 주방 인테리어 트렌드도 다양화됐다. 빛을 비교적 적게 반사해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무광 주방 가구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난 게 좋은 예다.주요 인테리어업체들은 무광 디자인을 적용한 주방 가구 비중을 최근 60%로 높였다. 코로나19 이전 주방 인테리어업계에선 유광(하이글로시) 소재 제품 비중이 70%, 무광 제품이 30% 정도였는데 최근 시장 판도가 바뀌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무광 디자인을 채택한 가전제품이 늘어난 것도 인기 요인이다. 무광 색상을 적용한 냉장고와 오븐, 식기세척기 등과 조화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무광 디자인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었다.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LG 오브제컬렉션은 무광 디자인을 적용한 냉장고와 식기세척기 등을 출시했다. 삼성전자의 비스포크도 냉장고 도어 등의 색상 옵션으로 무광 디자인을 제공하고 있다.무광 소재는 세련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유광 제품에 비해 손 지문과 긁힘, 얼룩이 눈에 잘 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인테리어업계에선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LX하우시스가 최근 선보인 ‘LX Z:IN(지인) 셀렉션 제스트’의 주방 제품은 자체 개발한 가구용 필름 제스트를 주방 가구 표면에 적용했다. 고급스러운 무광 색상의 강점을 잘 살리면서도 긁힘과 오염에 강한 게 특징이다. 무광 색상 종류를 크림화이트, 베이지, 코튼그레이 등 여섯 가지로 다양화했다.현대리바트는 올해 주방 가구 판매량의 약 80%가 무광 디자인 제품이다. 특히 광도(물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양) 값이 5 이하인 슈퍼 무광 재질의 제품이 인기가 높다. 대표 제품으론 리바트 키친 테라 시리즈, L700g 시리즈 등이 있다. 한샘은 프리미엄 주방 가구 라인인 키친바흐 페닉스가 무광 주방 가구 제품으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나노코팅 기술을 적용해 긁힘과 열에 강하고, 광도 0%의 슈퍼 무광 소재를 적용했다.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광택이나 윤이 나지 않는 무광 색상 디자인이 주방 인테리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인테리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세련된 주방 분위기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인테리어 업계에선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무광 가구도어용 필름의 단점을 보완한 제품을 내놓으며 집들이를 앞둔 소비자들을 끌어당기고 있다.13일 인테리어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방가구 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1조6000억원에서 3년 만에 약 12.5% 성장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홈스쿨링 등으로 가정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인테리어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한 영향이다.인테리어 소비층이 MZ(밀레니얼+Z)세대 등으로 넓어지면서 주방 인테리어 트렌도 다양화됐다. 빛을 비교적 적게 반사해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광 주방 가구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난 게 좋은 예다. 주요 인테리어 업체들의 무광 디자인을 적용한 주방 가구 비중은 최근 60%까지 올라왔다. 코로나19 이전 주방 인테리어 업계에선 유광(하이글로시) 소재 제품 비중이 70%, 무광 제품이 30%정도였으나 최근 시장 판도가 뒤바뀌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무광 디자인을 채택한 가전 제품이 늘어난 것도 인기 요인이다. 무광 색상을 적용한 냉장고와 오븐, 식기세척기 등과 조화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주방 가구도 무광 디자인을 선택하는 경향이 굳어진 영향이다.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LG 오브제컬렉션은 무광 디자인을 적용한 냉장고와 식기 세척기 등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맞춤형 가전 브랜드 비스포크도 냉장고 도어 등의 색상 옵션으로 무광 디자인을 제공하고 있다.무광 소재는 세련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유광 제품에 비해 손지문과 긁힘, 얼룩이 눈에 잘 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인테리어 업계에선 이같은 단점을 보완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LX하우시스가 최근 선보인 ‘LX Z:IN(지인) 셀렉션 제스트’의 주방 제품은 자체 개발한 가구용 필름 ‘제스트’를 주방 가구 표면에 적용해 고급스러운 무광 색상을 나타내면서도 긁힘과 오염에 강한 게 특징이다. 무광 색상 종류를 크림화이트, 베이지, 코튼 그레이 등 여섯 가지로 다양화해 소비자의 선택지를 넓혔다.현대리바트는 올해 주방 가구 판매량의 약 80%가 무광 디자인 제품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광도(물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양) 값이 5 이하인 슈퍼 무광 재질의 제품이 인기가 높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대표 제품으론 리바트 키친 '테라' 시리즈, 'L700g' 시리즈 등이 있다.한샘은 프리미엄 주방 가구 라인인 ‘키친바흐 페닉스’가 무광 주방 가구 제품으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나노코팅 기술을 적용해 긁힘과 열에 강하고, 광도 0%의 슈퍼 무광 소재를 적용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나타내는 게 특징이다. 다른 무광 제품인 '유로 700 그레이스' 시리즈는 은은한 무광 유리의 투명한 두께감과 고급스러운 흑니켈 AL 프레임으로 마감해 고급스러움을 더했다.한 업계 관계자는 “유럽에서 시작된 무광 인테리어가 국내 시장에서도 본격적으로 유행하고 있다”며 “업계에선 조금 더 세련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가미한 무광 디자인 제품들을 지속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