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강조해온 현행 제도의 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보험회사들의 불필요한 희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묘안으로 보입니다.”
국내 한 보험사 최고경영자(CEO)는 19일 생명·손해보험협회가 최근 보험사 자본건전성 위기 해소를 위해 마련한 보험부채 적정성 평가제도(LAT) 활용 방안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LAT는 자산·부채의 시가 평가를 골자로 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적용의 연착륙을 위해 2011년 처음 고안됐다. 현행 보험사 자본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 비율은 자산의 시가 평가, 부채의 원가 평가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내년 IFRS17이 도입되면 초저금리 기조 아래 부채가 지금보다 과대 계상돼 보험사들이 견디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컸다.
그래서 IFRS17에서처럼 반기마다 부채를 시가 평가한 뒤 차액을 책임준비금으로 추가 적립하도록 했고 적립금은 해당 기간의 비용으로 인정했다. IFRS17의 전격적인 도입에 따른 충격을 여러 기간에 걸쳐 분산시킬 수 있는 셈이다.
그러다 지난해부터 금리가 조금씩 상승 반전하면서 오히려 LAT에 따른 잉여금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물론 이는 향후 보험사들의 재무건전성 관리를 위한 제도인 만큼 잉여금은 해당 기간에 이익으로 환입(자본 확충)할 수 없도록 했다.
보험사마다 이렇게 쌓인 LAT 잉여금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적게는 수백억원, 많게는 수십조원에 달한다. 삼성생명이 18조7050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번에 문제가 된 NH농협생명도 3조7652억원을 갖고 있다. 오는 6월 말에는 금리 추가 상승으로 잉여금 규모가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보험업계와 당국은 이 LAT 잉여금의 40~60%를 가용자본으로 인정해주는 방식을 유력하게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제도를 마련할 당시만 해도 금리가 줄곧 떨어지고 있었던 탓에 잉여금을 자본으로 인정하는 규정은 만들지 않았던 것”이라며 “지금은 상황이 180도 달라졌으니 역으로 자본으로 환입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마련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보험업계에선 금리 인상으로 ‘건전성 위기’를 넘어 ‘생존의 위협’을 느낀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3개월간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1%포인트가량 뛰는 기현상 때문이다. 조만간 RBC 비율이 100% 이하로 떨어져 무더기로 당국의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금융당국도 이런 사정을 잘 알고 있지만 보험업계의 요구인 적기시정조치 유예, 신지급여력제도(K-ICS) 조기 도입 등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안정적으로 유지돼야 할 보험회계제도를 뒤흔들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최근 시장 상황이 더욱 나빠지면서 당국이 느끼는 위기감도 상당해졌다. 매도가능증권 재분류가 이번 RBC 위기의 본질인데 이 책임에선 금융당국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도 “현재 생보·손보협회와 함께 LAT를 활용한 보험사 자본건전성 관리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올 상반기에 구체적인 내용을 담아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 책임준비금 적정성평가(LAT)
2023년 도입할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의 연착륙을 위해 보험부채(책임준비금)를 시가평가로 추가 적립하도록 한 제도
■ RBC 비율
보험회사가 보유한 보험부채 리스크가 현실화했을 때 계약자에게 지급할 돈이 마련돼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을 요구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으로 나눠 구한다.
올 들어 뜀박질하고 있는 시장금리 탓에 자본 건전성 위기를 겪는 보험업계가 현행 지급여력(RBC) 비율 제도의 틀을 유지하면서 고금리 후순위채 발행 등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을 마련해 금융당국에 제시했다. 이 제안이 받아들여지면 금융당국이 그동안 주저하던 적기시정조치 유예나 신지급여력제도(K-ICS) 조기 도입 등 다소 무리한 조치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농협생명 등 문제가 된 보험사들이 자본 확충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손해보험협회는 보험부채 적정성 평가제도(LAT)를 활용해 보험사의 자본 건전성 위기를 해소하는 방안을 금융당국과 협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LAT는 내년 도입될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의 안착을 위해 2011년 고안된 제도다. 보험 부채를 시가로 평가한 뒤 차액을 책임준비금으로 추가 적립하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초저금리 상황에선 시가 평가로 부채가 커질 수밖에 없어 충격을 단계적으로 완화하려고 한 셈이다.하지만 올 들어 금리가 급등하면서 오히려 거액의 잉여금이 발생했고 이 가운데 일부분(40~60%)을 가용자본으로 인정하자는 게 보험업계의 핵심 제안이다. 이렇게 되면 요구자본 대비 가용자본으로 계산되는 RBC 비율이 올라가 비용이 수반되는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지 않더라도 보험사의 건전성 위기가 해소될 수 있다.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현행 틀을 뒤흔드는 데 대한 부담이 컸는데 LAT 잉여금을 활용하면 이런 문제가 없다”며 “비용이 많이 드는 자본 조달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 윈윈하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했다.이호기/김대훈 기자 hglee@hankyung.com
올 들어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보험사들의 지급여력(RBC) 비율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 지난 1분기 말 기준으로 금융감독원 권고치(150%)를 밑돈 보험사가 무더기로 쏟아진 데 이어 올 상반기 말 기준으로는 법정 최소 비율(100%)에도 미달하는 보험사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업계 차원에서 금융당국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지만 당국은 “유상증자 등 자구안이 선행돼야 한다”며 제도 개선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DGB금융계열 보험사인 DGB생명의 1분기 RBC 비율은 84.5%로 지난해 말(223.6%) 대비 139.1%포인트 급락했다. RBC 비율은 보험 계약자들이 일시에 보험금을 청구했을 때 보험사가 별문제 없이 지급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감독회계 지표다. 금리가 오르면 보험사가 보유 중인 채권의 평가손실이 반영돼 RBC 비율이 하락한다.현행법에 따르면 DGB생명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신규 업무 제한 등이 동반되는 적기시정조치(경영개선요구)를 받을 수 있다. 다만 DGB생명이 1분기 결산이 끝난 직후 300억원의 유상증자를 하면서 이를 반영한 RBC 비율은 108.5%를 기록했다.보험업계에선 이대로 가다간 2분기가 끝나는 6월 말께 적기시정조치 대상 보험사가 쏟아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1분기 말 기준으로 금감원 권고치를 밑돈 보험사만 한화손해보험(122.8%) NH농협생명(131.5%) DB생명(139.14%) 흥국화재(146.65%) 등 7~8곳에 달한다.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 3.489%(5월 6일)까지 치솟으면서 2분기 말 RBC 비율의 추가 하락이 유력한 상황이다.보험업계 관계자는 “내년 새 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되면 현재 원가로 기록되는 부채가 시가로 평가(부채 축소)돼 자본 건전성이 개선된다”며 “그럼에도 보험사들이 RBC 비율을 맞추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고금리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는 등 자본 확충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됐다”고 토로했다.금융당국이 이런 사정을 알면서도 지나치게 미적거리는 게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한 보험사 최고경영자(CEO)는 “금융당국이 7개월 뒤면 없어질 RBC 비율에만 집착해 보험사에 불필요한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당국의 결정이 길어질수록 보험사들의 고통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김대훈/이호기 기자 daepun@hankyung.com
지난달 손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전달보다 9%포인트가량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초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차량 운행이 줄면서 떨어졌던 손해율이 거리두기 완화 조치를 계기로 치솟고 있다는 분석이다.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 사업에서 2018년부터 3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다가 지난해 ‘반짝 흑자’를 기록했다. 다시 손해율이 고공행진하면 자동차보험 사업이 적자 수렁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11개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단순 평균 손해율(잠정치)은 82.3%로 3월 73.2%에 비해 9.1%포인트 증가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란 사고보상금의 합계를 보험료의 합계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MG손보(91.1%, 전달 대비 0.8%포인트 상승)를 제외한 대부분 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전달 대비 6%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현대해상의 손해율은 79.1%로 전달보다 6.2%포인트, 삼성화재는 79.0%로 10.5%포인트 올랐다. 롯데손보는 3월 63.1%에서 4월 83.1%로 20%포인트나 급등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매년 4월은 계절 요인으로 차량 운행량이 늘면서 사고율이 전달 대비 높아지는 때”라며 “특히 올해 4월은 전달의 오미크론 변이 기저효과와 중순부터의 거리두기 완화가 겹치면서 이례적인 수준으로 손해율이 뛰었다”고 설명했다.손보사들은 사고 보상비와 사업 운영비를 고려해 적자를 면할 수 있는 적정 손해율을 약 80% 전후로 본다. 당장 다음달부터 이 선을 넘겨 적자 전환할 것이란 예상이 많다. 지난달 18일부터 거리두기 조치가 완전히 해제된 이후 2주가량만 4월 손해율에 반영됐는데도 70%대 후반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통계청에 따르면 거리두기 해제 3주차를 맞은 이달 2일부터 1주일간 전국 교통량은 2019년보다 1.3% 늘어난 것으로 조사돼 처음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달 몇몇 대형 보험사가 개인용·영업용 자동차 보험료를 소폭 낮춰 신계약에 대한 보험료 수입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