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여름철 최대치 이미 경신…정부 예상 올해 최대 전망 시기는 8월 둘째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6일 최대 전력수요가 지난해 여름철 최대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2018년 여름철 이후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전력거래소는 이날 오후 6시 기준 최대 전력수요가 9만1천938MW(메가와트)로 지난해 7월 27일 오후 6시의 9만1천141MW를 797MW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내달 둘째 주로 예상했던 올여름 최대 전력수요 기준 전망도 한 달이나 빠르게 넘어섰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달 둘째 주 최대 전력 수요가 9만1천700~9만5천700MW에 달해 올여름 전력 수요가 가장 집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한 달을 남겨두고 이미 전망치의 하한선을 238MW나 웃돈 것이다. 이날 최대 전력수요는 역대 2위 기록이다. 전국에 기록적 폭염이 강타한 2018년 7월 24일의 9만2천478MW 다음으로 컸다. 전력거래소는 "최근 북상한 제4호 태풍 '에어리'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한 기류가 한반도로 지속 유입되면서 서울 최고기온이 33.3도까지 오르는 등 전국적인 폭염특보와 불쾌 지수 상승으로 전력수요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날 오후 6시 예비전력은 8천21MW에 그쳤고, 공급예비율은 8.7%를 보였다. 공급예비율은 당일 전력 공급능력에서 최대전력을 뺀 공급예비력을 다시 최대전력으로 나눈 비율이다. 공급예비율이 낮아질수록 전력수급 불안감이 커지게 된다. 통상 10% 이상은 돼야 비상 상황 등에 대비해 안정적 전력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올 여름철은 전력예비율이 최저 5.4%에 그치는 등 상황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라며 "정부 및 전력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
한경ESG Vol.13 - 2022년 7월호ISSUE ‘매달 기업 ESG 평가’…자체 모델 만든 신한금융‘주민 참여형 모델’ 재생에너지 확대 이끈다폭등하는 곡물가 …전쟁보다 위험한 기후 위기COVER STORY = 폭발하는 탄소시장‘탄소가 돈’…확산되는 탄소가격제‘넷제로’와 함께 부상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자발적 탄소시장 잡는다…시장 선점 나선 기업들 파리협정 6조 해설…국제 탄소시장 판 커진다 “배출권 거래제 가격 현실화가 시급한 과제”“개인도 주식처럼 배출권 거래하는 시대 온다”SPECIAL REPORT 다시 짜는 ESG 투자전략… 애널리스트 4인의 시각‘스코프 3 비상’ 협력사 배출량 파악 난제 풀기케이스 스터디 - 네이버한국의 기후 기술 기업④ 엔씽INTERVIEW리딩 기업의 미래 전략 - 박헌영 LG생활건강 전무GLOBAL탈탄소 행보 속도 내는 소니·가오전기차 배터리, 희유금속 재활용이 경쟁력공급망 인권 관리에 세덱스·에코바디스 활용메타·아마존에서 주주제안 좌초시킨 차등의결권‘정의로운 전환’ 화두 던진 영국 연금운용사 직장 내 정신 건강 평가하는 벤치마크 탄생 주주 관여 활동 결과를 측정하라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 클라우드로 넷제로 이끈다모빌리티 혁신 가능성 보여준 ‘9유로 티켓’ ESG NOW전기차 전환 시대, “준비 안 된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