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죽어야 사는 남자들 (1) 빌 게이츠
본 코너는 2020년대 ‘모빌리티 혁명’을 이끌어갈 테슬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다양한 뒷이야기들을 풀어갈 예정이다. 스티브 잡스 이후 최고의 ‘비저너리 CEO’로 평가받는 일론 머스크 역시 큰 탐구 대상이다. 신문 지상에서 풀지 못하는 국내외 테슬라 유튜버 및 트위터리언들의 소식과 이슈에 대해 소개한다. 테슬라에 대한 신뢰가 종교적 수준이란 의미에서 ‘테슬람’(테슬라와 이슬람의 합성어)으로 불리는 이들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왼쪽)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유감이지만 아직 끝내지 않았네. 그것보단 자선사업에 대해 논의하고 싶네만…” [빌 게이츠]
(지난 4월 트위터에 공개된 머스크와 게이츠의 문자 메시지)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와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 실리콘밸리의 전·현직 전설이자 세계 최대 갑부들입니다. 이들이 문자 메시지로 충돌한 사건이 지난 4월 뒤늦게 언론에 알려지며 관심을 모았습니다.
머스크는 전기차·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선두 주자입니다. 게이츠는 세계 최대 사립 자선단체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재단을 운영하며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알리는 ‘환경 지킴이’로 활동 중입니다. 공통점이 더 많아 보이는 두 거물은 최근 몇 년 사이 어린아이처럼 티격태격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두 남자 사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지난 4월 트위터에 공개된 일론 머스크와 빌 게이츠의 문자 대화. 녹색 메시지가 머스크, 회색이 게이츠.
게이츠는 2020년 9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머스크를 제2의 스티브 잡스로 보는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답합니다. “스티브는 디자인을 포함해 사람을 잡아끌고 마케팅을 하는 데 천재였고, 일론은 직접 부딪치고 실천하는 엔지니어라고 할 수 있다” 여기까진 그럭저럭 괜찮았습니다. 그는 전기자동차에 대해서 “중요하지만, 상대적으로 쉬운 산업”이라며 “테슬라가 이익을 내는 문제는 투자자들의 관심사일 뿐 기후변화의 문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테슬라의 성장과 녹색경제는 상관이 없다고 평가절하한 겁니다.

일론 머스크가 지난 4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TED 2022 : 뉴에라 컨퍼런스'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
게이츠는 머스크의 로켓 회사 스페이스X에 대해서도 비판했습니다. 그는 작년 2월 뉴욕타임스 팟캐스트 ‘스웨이’에 출연, “우주여행이나 화성 탐사보다 백신과 기후변화에 돈을 쓰겠다”며 “테슬라가 기후변화에 공을 세운 건 맞지만 승용차같이 쉬운 분야”라고 비꼬았습니다.
머스크 입장에선 흡사 선생님처럼 잔소리하는 게이츠가 얄미웠을 겁니다. 때문에 게이츠가 테슬라 주식을 공매도 했다는 소문을 듣고 문자로 따지듯 물었습니다. 공매도는 해당 기업의 주가가 떨어지면 수익을 내는 구조이니, 화가 났을 만도 합니다. 머스크는 이 대화 내용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배가 불룩 튀어나온 게이츠 사진과 함께 비슷한 모양의 이모지를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어린아이처럼 조롱한 겁니다.

일론 머스크가 지난 4월 게제한 트윗. 배가 불룩 튀어나온 빌 게이츠 사진과 함께 비슷한 모양의 이모지를 올렸다.
작년 초엔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를 제치고 세계 1위 부자 타이틀마저 차지합니다. 게이츠 입장에선 ‘친환경 기업인’이라는 아이콘을 머스크에게 빼앗긴다는 불안감이 들었을 수 있습니다. 그는 전기차 기업에 투자하는 ‘쉬운 방법’으론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다는 생각이 확고합니다.

빌 게이츠가 지난 2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제58차 뮌헨 안보회의(MSC)에 참석, 코로나 관련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REUTERS
그런 머스크도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2020년 이후 정부 규제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캘리포니아주 봉쇄령에 반발, 지난해 테슬라 본사를 실리콘밸리의 심장부인 팰로앨토에서 텍사스 오스틴으로 옮깁니다(세금을 깎아준 게 더 큰 이유이긴 합니다). 텍사스주는 보수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공화당의 ‘선거 텃밭’이기도 합니다. 머스크는 바이든 행정부와 노조 문제로 갈등을 빚기도 했습니다(테슬라엔 노조가 없습니다).
두 남자의 설전은 최근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에까지 옮겨붙었습니다. 화해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머스크의 테슬라가 죽던지, 게이츠가 기후변화 대신 다른 관심사를 갖는 그날까지 말입니다.
▶2편에 계속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