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대학교를 비롯해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등 의과대학 소속 교수들의 창업 열풍이 뜨겁다.
의과대학 교수들이 창업한 바이오헬스 관련 기업의 경우 서울대학교병원이 15곳을 넘는 가운데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성의교정)은 20곳, 울산의과대 서울아산병원은 10곳에 이르고 있다.
국내 상급종합병원 의과대학은 다국적 제약사들의 눈높이에 맞는 임상시험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는 장점과 함께 비영리법인인 대학병원이 기술지주회사 등을 통한 지분투자가 수익사업으로 인식되면서 그동안 의과대 교수들의 창업 '금기'를 깨고 있다.
특히 의과대 교수들이 창업한 기업에 벤처캐피탈 역시 뭉칫돈을 투자하면서 예비 유니콘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의과대 교수들의 창업 열풍과 벤처캐피탈의 투자 흐름에 대해 연속 기획(① 서울·아산·성모 등 '빅5'만 100여 곳…창업 금기의 틀 깨는 의과대학, ② 대학병원 교수들 "창업 앞으로"...벤처캐피탈 '뭉칫돈' 투자, ③ A기업이 불 지핀 창업 열풍..임상 인프라도 한 몫)으로 집중 조명해 본다.
▶ 서울·아산·성모 등 '빅5'만 100여 곳
국내에서 상급종합병원(3차 의료기관) 가운데 이른바 '빅5'로 불리우는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 포함)과 가톨릭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소속 의과대 교수들의 창업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 이학종 영상의학과 교수(아이엠지티)를 비롯해 이동호 소화기내과 교수(바이오뱅크힐링), 박문석 정형외과 교수(디딤), 김택균 신경외과 교수(탈로스), 전상훈 흉부외과 교수(테트라시그넘) 등 총 15곳이 넘는다.
분당서울대병원장 출신인 전상훈 교수는 자기주도 학습형 인공지능 VR 심폐소생술 교육 솔루션을 개발한 테트라시그넘을 창업했으며, 자문위원으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한 정진엽 부민병원 의료원장이 참여하고 있다.
위암 명의로 알려져 있는 김형호 외과 교수(암센터장)도 실버라이닝메디컬을 창업했다.
울산의과대 서울아산병원도 최재순 의공학연구소 교수(엘엔로보틱스)를 비롯해 진동훈 융합의학과 교수(웰마커바이오), 명승재 소화기내과 교수(에디스바이오텍), 강동화 신경과 교수(뉴랩스) 등이 창업한 벤처가 10여 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웰마커바이오는 지난해 8월 약 14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도 완료했으며 이르면 6월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 나설 계획이다.
가톨릭중앙의료원의 경우 기술지주 자회사는 총 11곳이며, 교수들이 창업한 벤처가 9곳에 이르는 등 창업 열기가 활발하다.
기술지주 자회사 가운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은 바이젠셀이다.
바이젠셀은 김태규 서울성모병원 미생물학교실 교수가 창업한 후 지난해 8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으며, 보령(구 보령제약)이 최대주주로 올라서는 등 적극 투자에 나선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바이오벤처이다.
혈액암 치료 명의로 꼽히는 조석구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교수(루카스바이오)를 비롯해 주지현 류마티스내과 교수(입셀), 남석우 성의교정 병리학교실 교수(네오나) 등이 창업 전선에 뛰어든 상황이다.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역시 교수들의 창업이 한창이다.
국내 위암 로봇수술 권위자인 형우진 소화기외과 교수(휴톰)를 비롯해 정승수 생리학교실 교수(비엔에이치리서치), 용동은 진단검사의학교실 교수(마이크로바이오틱스), 이성 신경외과학교실 교수(에스앤와이이노베이션) 등 10여명의 교수가 벤처 창업에 뛰어들었다.
성균관대 의과대 삼성서울병원은 스핀오프(spin-off)를 통해 교원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박웅양 삼성유전체연구소장이 유전체분석업체인 지니너스를 스핀오프한 후 장종욱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교수(이엔셀), 방오영 신경과 교수(에스엔이바이오)가 바이오벤처를 설립했다.
▶ 고려대의료원, 기술지주 자회사 등 벤처 30곳 창업
고려대의료원도 기술지주회사를 통한 바이오벤처 창업에 한창이다.
고려대의료원에 따르면, 기술지주 자회사는 총 19곳이며, 교수들이 창업한 교원 창업 벤처는 총 11곳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5명은 4일 오전 한 자리에 모여 "복합 경제위기 상황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추 부총리 등 5명은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조찬 간담회를 열고 "비상한 경계감을 갖고 주요 이슈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며 한국 경제가 마주한 경제 상황에 대해 이 같은 우려를 나타냈다.기재부는 "참석자들이 국내외 금리 상승기에 거시경제 리스크 요인들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관계부처 사이의 합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참석자들은 특히 금융·외환시장, 가계부채 및 소상공인, 청년층 등 취약차주의 부채 문제, 금융기관 건전성, 기업 자금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해 대응할 계획이다.기재부는 "다섯 참석자들이 앞으로도 수시로 만나 국내외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하며, 복합 경제위기를 타개하는 데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현재의 복합 경제위기 상당 기간 지속될 것…공동 대응해야" 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들이 4일 "국내외 금리 상승기에 거시경제 리스크 요인들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관계부처 합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4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조찬 간담회를 열고 정책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지난달 16일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이후 18일 만이다. 수장들은 "현재의 복합 경제위기 상황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비상한 경계감을 가지고 주요 이슈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공동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오는 14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이날 모인 수장들은 '금리 상승기 거시경제 리스크'를 특히 우려했다. 그러면서 "금융·외환시장, 가계부채 및 소상공인·청년층 등 취약차주 부채, 금융기관 건전성, 기업 자금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수장들은 앞으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금리 상승 관련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상속세법에 따르면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 전 일정 기간이내 상속인과 상속인 외의 자에게 증여했던 재산은 상속세 신고 시 상속재산가액에 합산해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이러한 합산과세의 이유는 누진세율 구조상 사전증여를 통해 고액의 상속세 부담을 회피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상속재산가액에 합산하는 사전증여재산에 대하여 고려할 부분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사전증여가 상속세 신고 시 어떻게 반영되고, 고려해야 할 부분들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하여 중요한 부분들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전증여 시 고려 사항(1) 상속세 신고 시 합산 대상 재산은 증여 당시의 시가로 합산 상속재산가액에 합산하는 사전증여재산의 가액은 증여일 현재의 시가에 따른다는 규정 (상속세법 제60조 4항)에 따라 증여 당시 시가보다 재산가치가 상승하더라도 상승분에 대해서는 상속재산가액에 합산하지 않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산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동산의 경우 사전에 증여를 한다면 절세효과가 클 수 있습니다. 이를 사례로 설명해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사례]1. 2015년 A씨가 자녀 B에게 목동 아파트(시가 9억원)를 증여하였음2. 2022년 A씨의 사망으로 B가 상속세 신고를 할 경우 B가 사전증여받았던 목동아파트를 상속재산가액에 합산해야함3. 2022년 현재 목동아파트의 시가는 약 23억원 정도로 예상됨 사전증여를 한 경우 사전증여를 하지 않은 경우 상속세 신고시 합산되는 재산가액 9억원 23억원 4. 이에 따른 절세효과 : 약 5.6억원 절세 효과※ 재산가치증가분에 대한 단순 세부담 차이만 고려(2) 상속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