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가맹점주가 ‘편의점 5만 점포시대’의 주역으로 부상했다. 올 들어 창업한 편의점 CU 가맹점주 네 명 중 한 명은 20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CU 서울 대치동부점을 인수해 운영 중인 20대 점주 두진주 씨(27)가 4일 매장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20대 가맹점주가 ‘편의점 5만 점포시대’의 주역으로 부상했다. 올 들어 창업한 편의점 CU 가맹점주 네 명 중 한 명은 20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CU 서울 대치동부점을 인수해 운영 중인 20대 점주 두진주 씨(27)가 4일 매장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직장생활도 가치가 있겠지만, 요즘 평생직장은 꿈도 못 꾸잖아요. 취업에 얽매이지 않고 노력하는 만큼 돈 버는 일을 하고 싶었죠.”

서울 테헤란로 포스코센터 인근에 있는 CU 대치동부점 점주 두진주 씨는 27세다. 지난해 7월 이곳을 인수해 9개월째 운영하고 있다.

근무 시간은 주중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직장인과 비슷하지만, 월 수익은 회사원인 친구보다 30~40% 많다. 두씨는 대학생 시절 4년간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했다. 코로나19로 취업난이 극심해지자 이 경험을 살릴 수 있는 편의점 창업을 택했다.

SNS로 트렌드 분석하는 MZ 점주

MZ 점주 "편의점은 일한 만큼 돈 버는 곳"…20대 창업 4배 늘었다
요즘 편의점 시장에서 눈에 띄는 트렌드는 2030 점주의 부상이다. 이들은 취업난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명예보다는 실리’라는 실용주의에 기반해 창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는 각 사의 점주 관련 데이터에서도 확인된다. GS25의 신규 가맹점주 중 2030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34.0%에서 올 1분기 41.6%로 증가했다. CU는 같은 기간 23.4%에서 45.4%로 늘었다.

20대 가맹점주에게 초점을 맞춰보면 CU에서 이들의 비중은 2019년 6.0%에서 올 1분기 26.5%로 네 배 이상으로 커졌다. 같은 기간 CU의 50대 점주 비중은 34.8%에서 28.0%로, GS25는 23.7%에서 22.8%로 감소했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점주는 그들만의 젊은 감각을 앞세워 편의점 시장의 주력인 50대 이상 장년층과 차별화하고 있다. 두씨는 매일 인스타그램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체크하며 최신 먹거리 트렌드와 경쟁사 신제품 현황을 살핀다.

인기를 끄는 상품과 비슷한 제품이 CU에 출시되면 곧바로 들여오기 위해서다. 이렇게 마련한 신제품은 점포 입구 옆에 전용 매대를 둬 쉽게 찾을 수 있게 했다.

‘워라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도 특징이다. 두씨는 주 5일, 하루 10시간 이상 일하지 않는다. 나머지 시간은 아르바이트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는 “하루에 12시간씩 일하지 않아도 상권과 고객 분석을 철저하게 하니, 매출이 늘었다”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일 중독이었던 베이비부머 세대와 달리 1980~1990년대 밀레니얼 세대는 일한 만큼 쉬어야 하고, 1995년 이후 태어난 Z세대는 좋아하는 일을 업으로 삼는 이른바 ‘덕업일치’를 추구한다”며 “프랜차이즈 중에서도 편의점은 기능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고,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청년 점주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세 유통채널’ 된 편의점

2030세대가 편의점에서 기회를 찾는 이유는 편의점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유일하게 매년 ‘덩치’를 불린 채널이기 때문이다. 성장성에 높은 점수를 줬다는 얘기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편의점 3사(CU·GS25·세븐일레븐) 매출은 전년 대비 6.8% 늘어났다. 2019년 4.1%, 2020년 2.4%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다. 이는 같은 기간 내내 감소세를 이어간 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SSM)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유통 패러다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급격하게 전환하는 과정에서 대형마트·SSM 등은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속절없이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편의점은 달랐다. 채소와 정육 등 신선식품 취급 비중을 늘려 집 근처에서 빠르게 장보기를 원하는 1인 가구와 주부를 잡았다. ‘홈술족’이 늘자 매대를 와인과 위스키로 채웠고, 택배와 배달 서비스, 은행 창구까지 들여와 생활 서비스 플랫폼으로도 확장했다.

이처럼 빠른 변신이 가능했던 것은 작은 매장 면적과 프랜차이즈라는 업태 덕분이다. 편의점 5사의 점포 면적 평균은 66~83㎡ 수준이다. 면적이 크지 않으니, 소비자 ‘입맛’ 변화에 맞춰 적극적으로 상품 구성을 바꿀 수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직영점인 대형마트와 달리 가맹점주가 운영하는 편의점에서는 신제품도 반응이 좋지 않으면 1주일 만에 매대에서 사라진다”고 말했다.

민첩한 대응의 결과 편의점 3사 매출은 지난해 처음으로 대형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매출을 제쳤다. 전체 유통업체 매출에서 편의점이 차지하는 비중(15.9%)도 대형마트(15.7%)를 앞섰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