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000억…45년 토종 브랜드가 백화점 1등 하는 이유는?
최장수 영캐주얼 ‘톰보이’가 살아남은 비결

◆45년째 롱런하는 토종 브랜드 톰보이
13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스튜디오톰보이는 지난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롯데백화점 잠실점, 현대백화점 무역점 등 주요 수도권 백화점 여성 캐주얼 브랜드에서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신세계센텀시티점 등 2개 지방 백화점에서도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유행에 민감한 국내 패션시장에서 토종 브랜드로 45년째 명맥을 이어와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20~30대 구매 비율이 40%에 이를 정도로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톰보이는 1977년 세상에 나온 국내 1세대 여성 캐주얼 브랜드다. 정장브랜드가 전부였던 1970년대에 찢어진 청바지와 티셔츠 등 당시에는 생소한 옷을 내놓으면서 여성들에게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세월 앞에서 브랜드는 늙어갔다. 2011년에 최종 부도나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인수했다. “한국에서도 오랜 역사를 가진 브랜드가 있어야 한다”는 정유경 총괄사장의 결단이 있었다. 이 브랜드는 10년이 지난 뒤에도 계속 1000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브랜드가 됐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고 가격을 경쟁적으로 낮추는 바람에 브랜드 간 차별성이 사라지고 가격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소비자들이 떠났다”고 말했다. 다만 1990년대 브랜드 톰보이와 마리떼프랑소와저버 등은 재기에 성공했다. 패션업계에서는 도산 위기에도 가격 인하를 하지 않아 브랜드 이미지가 타격이 적었다고 평가했다.

◆10년 투자해 새로운 브랜드로 탈바꿈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11년 톰보이를 인수한 뒤 디자인부터 확 바꿨다. 보이시한 디자인을 버리고 남녀를 구분 짓지 않는 젠더리스 패션으로 방향을 틀었다. 통 큰 여성용 정장을 내놓는 등 편안한 스타일의 의류를 출시하자 20~30대 직장인 여성을 중심으로 톰보이를 찾는 수요가 꾸준히 늘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새로 단장하고 꾸준한 투자를 통해 브랜드를 회생시켰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