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정모씨(42)는 무료 송금 등을 위해 즐겨 쓰던 한 핀테크 앱을 켰다. 그러자 앱 화면에 갑자기 ‘이제 내 자산 다 볼 수 있어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떴다. 호기심에 이끌려 ‘한번에 연결하기’를 선택하고 간단한 인증 및 동의 절차를 완료했다. 그러자 은행 카드 증권 등 금융사별로 흩어져 있던 정씨의 모든 계좌가 앱으로 들어왔다. 그는 20년 전 개설해놓고 까맣게 잊고 있던 한 은행 계좌에서 수십만원을 발견했다. 정씨는 “휴면계좌로 분류돼 곧바로 자금을 뺄 순 없었지만 새해 들어 뜻하지 않은 복이 굴러들어온 것 같다”고 말했다.
'신통방통' 마이데이터 덕에…외식비 아끼고, 수익률 올렸다

올 들어 마이데이터 시대 본격 개막

‘내 손 안의 금융비서’로 불리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서비스 시대가 본격 개막했다. 마이데이터는 금융소비자가 여러 금융회사에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한곳에 모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그동안 예·적금 계좌 잔액, 주식 보유 수량, 보험 가입 현황, 카드 청구 금액, 통신료 납부 내역 등을 확인하려면 해당 금융사 앱을 각각 켜서 확인해야 했지만, 이제는 하나의 특정 앱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5일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시작한 회사는 은행(10곳) 카드(6곳) 증권(4곳) 핀테크(10곳) 등 33곳이다.

마이데이터는 기존 ‘스크래핑(출력화면 긁어오기)’이 아니라 ‘시스템 직접 접속(API 기반)’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한층 강화된 보안성과 로딩 속도를 제공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스크래핑 방식에 비해 통합 조회 속도가 약 10배 빨라진다”며 “광범위한 정보 수집이 제한되고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만 선택해 전송을 요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에도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기존 공동인증서가 아니라 네이버, 카카오 등 사설인증서를 통해서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는 금융사별로 조금씩 다르다. 소비자의 조회 빈도가 높은 금융권 정보는 대부분 포함됐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너도나도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

이 같은 정보를 활용해 맞춤형 자산관리 및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로 승부하려는 금융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 국민은행은 ‘외식비 줄이기’ ‘한 달 예산으로 살기’ 등 이용자가 지출 관리를 위한 목표를 스스로 정하고 이를 달성해 자산을 늘릴 수 있도록 돕는 ‘목표 챌린지’ 서비스를 선보였다. 신한은행은 ‘머니버스’ 브랜드를 내걸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VIP 고객이 선호하는 해외 주식과 알짜 부동산 정보 등을 제공하고 다른 금융회사 상품까지 추천해준다.

하나은행도 그룹 마이데이터 브랜드인 ‘하나 합’을 통해 고액 자산가의 전유물이던 각종 자산관리 컨설팅을 모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우리은행은 결혼 여부, 자녀 수, 연소득 등 주요 이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미래의 나’ 서비스를 선보였다. 예를 들어 육아휴직을 앞두고 있다면 소득 공백과 휴직 기간에 필요한 자금 등을 분석해 자산 변화 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신한카드는 카드사에 걸맞게 소비생활 시나리오별 꿀팁과 금융 캘린더에 따른 다양한 알림을 보내주는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NH투자증권도 고객이 보유한 상품을 분석하거나 고객 현금 흐름 분석을 통해 자산 관리를 해주는 ‘투자성과리포트·나의 소비’ 등의 서비스를 오픈했다. 저축은행으로는 유일하게 마이데이터 대열에 합류한 웰컴저축은행은 모바일 뱅킹 앱인 웰컴디지털뱅크(웰뱅)를 통해 맞춤형 부채관리와 비대면 중고상품 안심거래 등의 서비스를 내놨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