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한 난방비에 관리비 부담이 커지면서 전기료를 아끼는 방법에도 관심이 쏠린다.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전기요금 절감 효과가 가장 큰 방법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사용하기'다.전기·전자 기기를 에너지 고효율 제품으로 바꾸면 올해 전기료 인상분의 2배 넘게 아낄 수 있다는 얘기다.작년 말 대비 올해 1분기(1∼3월) 전기료는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4000원(부가세·전력기반기금 미포함)가량 올랐다. 지난해 말 정부가 전기료를 kWh당 13.1원 인상한 영향이다.도시지역 4인 가구(월 사용전력량 304kWh)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사용하면 월평균 전력 절감량은 32.9kWh(킬로와트시)로 조사됐다. 이는 가구에서 매달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전체 전력량의 10.8% 수준으로, 전기료 월 절감액은 8280원에 달한다.아울러 겨울철 적정 수준의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전기료 절감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실내 온도를 기존보다 2도 낮추면 전기료 월 절감액(월 절감량)은 7270원(28.6kWh)으로 조사됐다. 또 겨울철 실내 온도를 18∼20도 유지하면 전기료 월 6530원(26.2kWh)을 아낄 수 있다.사용하지 않는 방의 조명을 끄면 월 2670원(10.8kWh), 전력피크 시간대(오전 9∼10시·오후 4∼5시)에 전기 사용을 자제하면 월 2010원(7.7kWh)의 전기료 절감 효과를 본다.이 밖에 전기장판 온도를 강에서 약으로 한 단계 낮춰 사용하면 월 1760원(6.7kWh), 고효율 조명을 선택하면 월 1500원(6.5kWh), 전기 난방기기 사용을 자제하면 월 760원(3.3kWh)의 전기료가 덜 나온다.산업부 관계자는 "기록적인 한파가 몰아친 이번 겨울에 전기요금 부담을 완화하려면
‘밀크플레이션(밀크+인플레이션)’ 여파로 값싼 멸균우유 수입이 크게 늘었지만, 소비자들은 이를 장바구니에 선뜻 담지 않고 있다. 이 우유는 폴란드, 호주 등의 대규모 목장에서 나온 원유를 고온 처리한 것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일반 우유의 반값이다. 하지만 특유의 밍밍한 맛 때문에 일반 우유를 대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2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에서 수입 멸균우유 판매 비중은 극히 저조한 수준에 머문다. 한 대형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오프라인 매장 우유 전체 매출 중 수입 멸균우유 비중은 0.1%도 되지 않는다. 온라인몰에서도 수입 멸균우유 매출은 통계로 잡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라는 게 이 마트의 설명이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료값 상승 등으로 원유 생산가가 뛰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멸균우유 수입량은 3만3000t에 달했다. 전년보다 42%나 늘어난 양이다.수입 멸균우유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마시는 살균우유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유를 가열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한 뒤 포장한다. 유통기한이 길고 상온 보관이 가능하며 가격도 싸다. 대표적 수입 멸균우유인 폴란드 ‘믈레코비타’는 1L에 1500원 정도다. 같은 용량의 국내산 일반 우유는 대개 2500원이 넘는다.수입 규모가 늘었지만, 소비자들이 쉽사리 장바구니에 수입 멸균우유를 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맛’이다. 우유업계 관계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살균 우유와 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멸균우유를 ‘싱겁다’고 느끼는 소비자가 많다”고 말했다.이런 이유로 커피업계에서도 수입 멸균우유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