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정상' 전환률 63.6%보다 낮아
한은 "일시적 정상화를 회생으로 간주하지 말고 장기 상태 봐야"

이익으로 이자조차 내기 어려운 한계기업이 다시 살아날 확률은 장기적으로 15∼36% 정도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특징:한계기업 회생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03∼2009년 중 신규 한계기업의 회생률은 최소 15.0%, 최대 36.3%로 집계됐다.

한은 "한계기업 장기적으로 다시 살아날 확률 15∼36%"
이번 연구는 해당 7년간(2003∼2009년) 새로 한계기업(3년이상 이자보상배율 1 미만·업력 10년 이상)이 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은은 이들 기업이 한계 상태에 이른 뒤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간 추적해 기간별로 평균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1이상' 회복된 기업을 따로 6개 그룹으로 나눴다.

한은 "한계기업 장기적으로 다시 살아날 확률 15∼36%"
6개 그룹에 모두 포함된 기업이 당초 분석 대상이었던 전체 신규 한계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회생률의 최저치(15.0%)로 정의됐다.

가장 엄격한 기준에서 오랜 기간 이자보상배율 1이상 상태를 유지한 기업들만을 회생한 기업으로 간주한 것이다.

반대로 회생률의 최고치(36.3%)는 가장 느슨한 기준에서 6개 그룹에 한 번이라도 포함된 기업의 비중이다.

이 방식으로 추정된 회생률은 한계에 이른 기업이 일시적으로 이자보상배율 1이상의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비율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었다.

한은이 2000∼2019년 한계기업 상태의 10년간 변화를 추적한 결과, 63.6%는 한계에 이른 뒤 10년 내 최소 한 번(1년) 이상 정상상태로 전환됐다.

하지만 이들 정상 전환 이력이 있는 기업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나눠 보면, 35.9%는 10년 뒤 다시 '재무 취약' 등의 상태에 빠졌고, 27.7%만 10년 후 정상 상태를 유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부가 한계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회생률을 너무 높게 잡고 정책 지원에 나서기보다, 더 엄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일시적 성격의 정상화를 회생으로 간주하고 정상화 이후의 장기 상태 변화를 추적하지 않는 등 한계기업 회생에 대한 분석이 지금까지 미진했다"고 밝혔다.

다만 한은은 "코로나19로 새로 한계상태로 전환된 기업 중 상당수는 생산성, 경영능력 등 기업 특성 측면에서 과거 한계기업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