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 11월말 주택 매매 잔금을 치르는 정 모씨는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금리에 한숨이 나온다. 금융채 5년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했는데, 20일 기준으로 3.9%(가산 1.55%, 기준 2.33%)의 금리가 책정됐다. 실제로 다음달 대출이 실행될 땐 금리가 4%를 넘을 것으로 예상돼 걱정스럽기만 하다.

최근 국고채 금리 급등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족과 신규 대출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이자부담이 늘 것으로 예상돼서다.

21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18일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 1.875%를 기록했다. 이는 2018년 12월5일(연 1.90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심지어 전날 오전엔 1.908%까지 오르면서 최고가 경신을 노리기도 했다. 장기 금리도 오르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지난 12일 2.447%를 기록하면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국채금리가 상승한 배경으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꼽힌다.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 가격은 전날보다 1.1% 오른 배럴당 83.87달러를 기록했다. 2014년 10월(배럴당 85.74달러)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미국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서두를 것이라는 전망도 국내 채권금리 상승의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를 조만간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에 국채 금리도 뛰고 있다. 통상 국내 국채 금리는 미국 국채 금리 움직임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19일(현지시간)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1.63%로 상승하면서 6월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간밤엔 장중 1.67%까지 오르기도 했다.

국내 시장에서도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채권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주열 총재는 10월 금통위에 이어 국정감사에서도 11월 금리 인상 의지를 드러냈고, 주요국 통화 긴축 우려도 연말 국내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의 빠른 인상으로 대출 기준 실질금리가 높아지는 경우 취약계층의 이자 부담이 가중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 지표인 금융채(5년 만기) 등 시장금리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에 시중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줄이고 가산금리를 대거 높이면서 대출금리 인상이 본격화하고 있다.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전날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346%~4.67%로, 8월 말(연 2.62∼4.19%)과 비교하면 0.7%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연 3.14~4.95%로 5% 돌파를 앞두고 있다.

금리가 높아지면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은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대출자 대부분이 변동금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8월 현재 은행권에서 신규 가계대출에서 변동금리 비중은 80.4%에 달했다. 예를 들어, 20년 만기 변동금리형(금리 상단 4.67%)으로 주택담보대출을 3억원 한도로 받았다면 월 상환액은 192만원이 된다. 두 달 전과 비교해 연간 100만원 가량 이자 부담이 더 커진 것이다.

심지어 올해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차주들 대부분은 신용대출을 함께 사용하고 있어, 이자 부담은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담보대출로 돈을 빌린 10명 중 4명은 신용대출도 함께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주택담보대출 차주 중 신용대출도 함께 보유한 비중은 43.9%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2분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간 총부채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는 대출금 비중은 62.7%다. 금융당국은 'DSR 40% 초과' 차주를 고위험 채무자로 분류하고 있다.

정부는 고강도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는다. 금융당국은 오는 26일 DSR 규제의 단계적 적용 시기를 앞당기고, 2금융권에 대한 DSR 규제를 은행 수준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동시에 못 받게 되거나,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대출 한도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금리가 높아지면서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출한도까지 막히는 '이중고'가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