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미래 모빌리티 기술은 더 이상 먼 훗날의 일이 아니다. 최근엔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 약자를 위한 미래 모빌리티 기술 구현에 관해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퍼스널 모빌리티’, 공공이 이용할 수 있는 ‘목적기반차량(PBV)’ 등 새로운 교통 수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이동 수단으로 단거리 이동용이다. 전동휠체어도 퍼스널 모빌리티에 해당한다. 미국의 휠체어 사용자는 2020년 33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에 달했다. 전동휠체어는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고령화 등으로 교통을 이용하기 어려운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자율주행 휠체어는 이들의 갈증을 풀어줄 교통 수단이 될 것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지난 5월 서울시립미술관, 분당서울대병원과 자율주행 휠체어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지금은 주행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앞으로는 다른 교통 수단과 연계하는 방법, 안전에 대한 연구 등이 더 활발해질 것이다.

자율주행 휠체어는 먼저 라이다,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주행로 정보를 받는다. 인공지능이 내장된 인휠 시스템이 이 데이터를 분석해 주행에 활용한다. 휠체어는 자율주행 기능이 더해질 때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많다. 육체적인 이유로 이동이 불편한 사람뿐 아니라 시·청각적 어려움이 있는 이용자에게도 용이하다. 보호자의 도움 없이 목적지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현재는 병원, 미술관, 요양시설 등 특정 시설에서 보호자 없이 휠체어로 이동 가능한 수준이다. 앞으로는 시설 밖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활용 범위가 넓어질 전망이다.

휠체어에 자율주행 기술이 도입되면 이후엔 다른 모빌리티와 결합하고 에어백 등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자동 탑승 기술’을 통해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 PBV에 탈 수 있다. 휠체어가 PBV에 다가가면 두 차량이 통신해 휠체어를 차량 내부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휠체어가 차량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도킹 시스템’도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휠체어뿐 아니라 유모차, 전동킥보드 등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에도 활용 가능하다.

이런 휠체어용 기술은 교통 약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교통 수단 간 환승의 불편함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 단거리용인 휠체어를 장거리 이동에도 쓸 수 있어 삶의 질을 올려준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교통 약자들에게도 이동의 평등권과 안전이 보장돼야 한다. 공공의 역할이 필요한 분야다. 경기 성남시는 상세한 도로 정보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한 ‘전동휠체어 자율주행 길안내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 지자체, 모빌리티 기업의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과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