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

경제력, 혁신 능력, 재정 등 부문에서 국내 광역 시·도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만큼 효율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펴낸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전국 17개 광역시·도 경제를 지역내총생산(GRDP), 일자리, 혁신 능력, 재정, 인구 5개 부문에 걸쳐 비교했다.

1990∼2019년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GRDP를 보면 중 경기, 충북, 충남, 제주 4곳은 전국 GRDP 대비 비중이 확대됐지만, 나머지 13개 광역시도의 비중은 하락했다.

특히 경기도는 전국 GRDP 대비 비중이 1990년 16.4%에서 2019년 24.9%로 8.4%포인트(p) 뛰었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효율성 높일 방안 필요"
그 결과 서울과 경기가 전체 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42.3%에서 47.4%로 약 5.1%p 상승했다.

반면 이 기간 경남 GRDP의 전체 대비 비중은 10.6%에서 5.9%로, 강원은 3.5%에서 2.5%로 각각 하락했다.

연구원은 이어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16개 광역시도에서 일자리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살펴봤다.

전국의 주민등록인구 1천 명당 종사자 수가 2006에서 2019년 사이에 123.2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울산, 경기, 경남, 제주 등 8곳은 종사자 수 증가 규모가 전국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인천은 2006년 대비 2019년 1천 명당 종사자 수가 85.6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효율성 높일 방안 필요"
연구원은 이어 지역과학기술역량지수를 활용해 광역시도의 혁신 능력을 비교했다.

종합지수가 제일 높은 경기를 100으로 잡았을 때 서울, 대전, 경북 3곳을 제외한 13개 광역시도 모두가 평균 수준인 47.1%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어 재정자립도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광역시도가 2015년에서 작년 사이에 약화했다고 진단했다.

또 2010년과 2020년 지역별 인구를 비교해보면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북, 전남, 경북 등 8개 광역시도에서 주민등록 기준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다수의 광역시도는 현재의 경제 여건은 물론 미래의 성장 기반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가운데 인구 유출 현상까지 보이고 있다"며 "기존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재평가해 영향력이 큰 사업을 발굴하고 투자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이어 "인프라-일자리-정주의 선순환 고리 형성을 위한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며 "지역별로 규모는 물론 질적으로도 적절한 수준의 일자리 창출력을 갖춤으로써 정주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