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0년 국제인구이동 결과
코로나에 작년 외국인 유출·내국인 유입 '역대 최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로 입국한 외국인 수가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외국인 순유출 규모는 12만8천명으로 2000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가장 컸다.

반면 내국인은 입국자가 출국자를 24만1천명 웃돌아 역대 최대 폭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유학생·파견 근무자 등의 귀국이 대폭 늘고 출국은 줄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 국제인구이동 통계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 외국인 순유출 역대 최대…11년 만에 '출국 > 입국'
작년 국제이동자(체류기간 90일을 초과한 입국자와 출국자)는 전년보다 23만3천명(15.9%) 줄어든 123만4천명으로 집계됐다.

입국자가 67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7만6천명(10.1%) 감소했고 출국자는 56만명으로 15만7천명(21.9%) 감소했다.

11만4천명이 순유입된 셈이다.

외국인만 놓고 보면 입국자는 23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20만5천명(46.8%) 급감했다.

출국자(36만2천명)는 전년보다 6만4천명(15%) 줄었다.

12만8천명이 빠져나간 것으로 역대 최대 순유출이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사증(비자) 면제 잠정 정지 조치를 시행하면서 입국이 줄었고, 기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서 체류기간 연장 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출국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작년 4월부터 한국인 입국을 금지한 90개 국가에 대해 비자 면제·무사증 입국 제한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외국인은 2010년부터 줄곧 입국자가 출국자보다 많았는데 11년 만에 순유출로 전환됐다.

20대 이상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이 일어났는데 20대 순유출은 처음이다.

외국인 입국 당시 체류 자격은 단기(24.9%), 취업(22.4%), 유학·일반연수(19.2%) 순이었다.

특히 단기(-9만3천명·61.6%↓)와 취업 비자(-6만2천명·54.3%↓)로 입국한 외국인의 전년 대비 감소 폭이 컸다.

단기에는 사증면제 입국과 단기방문 입국이 포함된다.

재외동포 입국자(-2만1천명·40.8%↓)와 유학·일반연수 입국자(-2만1천명·31.6%↓)도 큰 폭으로 줄었다.

국적별 외국인 순유입은 미국(8천명), 베트남(5천명) 순으로 많았고 순유출은 중국(-7만4천명), 태국(-1만3천명), 우즈베키스탄(-6천명) 순이었다.

중국인은 전년 대비 순유출 규모가 3만2천명 늘었고 태국은 2016년 이후 순유입 흐름이었으나 작년에는 1만3천명 순유출로 전환했다.

코로나에 작년 외국인 유출·내국인 유입 '역대 최대'
◇ 한국인 입국 41.5% 늘어 역대 최대…22만2천명 순유입
지난해 한국인 입국은 44만명으로 전년 대비 12만9천명(41.5%) 늘었다.

반면 출국자(19만9천명)는 9만3천명(31.9%) 줄면서 24만1천명이 순유입됐다.

2019년 순유입 규모(1만9천명)의 약 13배에 달한다.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입이 이뤄졌는데 특히 10대 이하에서 순유입이 이뤄진 것은 처음이다.

김수영 과장은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전환, 휴교 조치 등에 따라 이미 출국했던 유학생과 국내 기업 파견자 등이 많이 귀국했고 출국 자체는 줄어들면서 역대 최대 규모의 순유입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내국인은 매년 비슷한 규모의 인원이 유학·파견 근무 등을 위해 출국하고 귀국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작년에는 입국이 크게 늘고 출국은 줄어든 것이다.

한편 내국인과 외국인의 월별 국제이동을 보면 국제이동자는 작년 1월에 23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5월에 5만6천명으로 가장 적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