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플레이션(밀크+인플레이션)’ 여파로 값싼 멸균우유 수입이 크게 늘었지만, 소비자들은 이를 장바구니에 선뜻 담지 않고 있다. 이 우유는 폴란드, 호주 등의 대규모 목장에서 나온 원유를 고온 처리한 것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일반 우유의 반값이다. 하지만 특유의 밍밍한 맛 때문에 일반 우유를 대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2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에서 수입 멸균우유 판매 비중은 극히 저조한 수준에 머문다. 한 대형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오프라인 매장 우유 전체 매출 중 수입 멸균우유 비중은 0.1%도 되지 않는다. 온라인몰에서도 수입 멸균우유 매출은 통계로 잡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라는 게 이 마트의 설명이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료값 상승 등으로 원유 생산가가 뛰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멸균우유 수입량은 3만3000t에 달했다. 전년보다 42%나 늘어난 양이다.수입 멸균우유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마시는 살균우유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유를 가열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한 뒤 포장한다. 유통기한이 길고 상온 보관이 가능하며 가격도 싸다. 대표적 수입 멸균우유인 폴란드 ‘믈레코비타’는 1L에 1500원 정도다. 같은 용량의 국내산 일반 우유는 대개 2500원이 넘는다.수입 규모가 늘었지만, 소비자들이 쉽사리 장바구니에 수입 멸균우유를 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맛’이다. 우유업계 관계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살균 우유와 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멸균우유를 ‘싱겁다’고 느끼는 소비자가 많다”고 말했다.이런 이유로 커피업계에서도 수입 멸균우유 사용
온라인 뷰티 시장을 잡기 위한 e커머스 업체들의 경쟁이 뜨겁다. 옷을 파는 무신사, 신선식품의 강자 컬리, ‘e커머스 지존’ 쿠팡까지 앞다퉈 뛰어들었다.플레이어는 늘었지만, 온라인 뷰티 시장은 아직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접어들지 못했다. 무주공산을 차지하기 위한 격전이 당분간 치열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지근한 온라인 뷰티 시장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총 10조397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12조1734억원) 대비 14.6% 감소했다.이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쇼핑이 일상화하면서 지난해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206조4916억원)이 10.4%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통계청이 집계하는 22개 세부 카테고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업계에선 이런 흐름이 소비자들 사이에 아직 ‘체험 후 구매’ 성향이 더 강하게 남아있는 화장품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다. 샤넬, 입생로랑 등 명품 브랜드가 온라인 유통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성장세가 더딘 이유로 지목된다. 최근 ‘뷰티컬리’를 선보이며 야심 차게 뷰티 시장에 뛰어든 컬리도 명품 화장품업체들을 설득하는 데 애를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화점 후광’ 롯데온백화점을 기반으로 한 e커머스 기업들은 ‘절대 강자’가 없는 이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롯데쇼핑의 e커머스 플랫폼 롯데온이 그런 곳으로 꼽힌다.롯데온은 그간 쿠팡엔 배송 속도에서 밀리고, 컬리엔 신선식품 품질에서 뒤처지면서 e커머스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이런 와중에 온라인 뷰티 시장에선 경쟁자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