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을 대상으로 한 ‘2021년 대한민국 ESG 경영대상’은 응모 단계부터 화제를 모았다. 공공부문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적을 따로 떼어내 평가하는 첫 시상이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과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 IBS컨설팅이 개발한 한국형 ESG 평가모델을 처음으로 적용했다는 점도 관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 이유 중 하나다.
국내 첫 공공부문 ESG 평가…업종별로 가중치 차등 적용
응모 기관이 어떤 산업에 속하는지에 따라 평가지표와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공기업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함께 개발한 글로벌산업분류기준(GICS)에 따라 소속 업종을 나눴다. 준정부기관과 기타공공기관은 GICS를 그대로 적용하기 힘들어 자체적 기준에 따라 발전, 전력망, 가스망, 물공급, 금융, 행정서비스 등으로 업종을 구분했다.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부문 지표와 관련한 기본 가중치는 30 대 50 대 20이다. 다른 글로벌 평가기관에 비해 G 비중이 낮은 편이다. 공공부문의 지배구조는 법률과 상급 부서의 지침 등을 통해 관리된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공공부문의 지배구조는 민간부문에 비해 통제가 쉬우며 기관별로 차이도 크지 않다.

이번에 활용한 평가지표는 총 95개(E 34개, S 44개, G 17개)다. S와 G는 산업 분류와 관계없이 모든 지표를 적용했다. E는 업종에 따라 적용한 지표 개수가 다르다. 환경 이슈가 중요한 발전 업종은 34개 지표를 모두 활용했지만 금융(20개), 행정서비스(28개) 등 업종에선 변별력이 낮은 일부 지표를 빼고 평가했다. 가중치도 업종별로 차이를 뒀다. 업종별로 중요하게 챙겨야 하는 이슈가 다르다고 판단한 것이다. 예컨대 발전은 E, S, G 가중치 비율이 40 대 40 대 20이다. 반면 행정서비스는 30 대 48 대 22 비율을 적용했다. 오염물질 누출, 부정부패 등 환경이나 사회적으로 논란이 있는지도 들여다봤다. 문제가 있는 기업이나 기관은 감점 처리했다.

ESG 경영대상 응모 기관들의 득점률 평균값은 78.5%였다. 소속 업종에서 ESG 경영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기업의 득점률을 100%로 잡았을 때의 상대값이다. 분야별 평균 득점률은 E 73.2%, S 82.3%, G 78.3%로 나타났다. 사회공헌 활동은 활발하게 벌이고 있지만 환경 이슈에 대한 대응은 다소 미흡하다는 것이 평가팀의 중론이었다.

이번 평가에 참여한 심사위원은 신완선 성균관대 시스템경영공학과 교수(전 공공기관 경영평가 공기업 평가단장), 이종욱 신구대 스마트사무경영과 교수(경기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총괄유형장), 윤태범 한국방송통신대 행정학과 교수(서울행정학회장), 문두철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 이명환 아이비에스컨설팅컴퍼니 대표 등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