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매매수급지수 89.3으로 90선마저 무너져 전국 아파트 매수심리가 3개월 연속으로 떨어지며 약 2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9.3으로 지난주(90.1)보다 0.8포인트(p)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으면 주택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5월 10일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1년 한시 배제 조치 시행 직후인 5월 셋째주(94.1)부터 13주째 하락하며 90선마저 무너졌다. 수급지수는 조사 시점의 상대평가이긴 하지만 단순 수치만 볼 때 2019년 11월 둘째주(87.5) 이후 약 2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권역별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와 비교해 수도권(87.2→86.3)과 지방(92.8→92.0)에서 모두 하락했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3.7로 지난주(84.4)보다 0.7p 내리며 15주째 하락세를 기록했다. 도심권은 83.2에서 81.2로, 서북권은 77.7에서 77.6으로, 동북권은 77.9에서 77.2로 각각 떨어졌다. 강남 4구가 속해 있는 동남권은 90.7에서 90.2로, 서남권은 89.5에서 88.6으로 하락했다. 정부가 지난달 21일 종합부동산세 과세 체계를 주택 수에서 가액 기준으로 전환하고, 다주택자의 중과 세율을 폐지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세제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매물이 감소하는 추세임에도 이처럼 매수 위축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부동산 시장은 전국적으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거래 절벽' 현상이 점점 더 심화되는 양상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를 보면 계약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 지난 3
글로벌 경기가 불확실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올 상반기 주요 기업들의 창고에 쌓인 재고마저 지난해 말보다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차질에 대비해 축적해온 재고가 최근 경기침체 우려와 수요부진 영향으로 급증한 탓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생산라인 가동률을 조정하며 재고 관리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삼성전자 재고자산, 첫 50조원 돌파19일 각 회사가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삼성전자의 재고자산 총액은 52조922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0조778억원(26%)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이 5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30.7%↑)을 비롯해 스마트폰과 TV·가전 사업들 담당하는 DX부문(21.3%↑), 디스플레이 부문(21.8%↑) 등 전체 사업 부문에서 재고자산이 대폭 증가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가 보유한 전체 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작년(9.7%)보다 1.9%포인트 상승한 11.6%로 집계됐다.재고자산은 시중에 바로 팔 수 있는 상품 재고와 생산과정에 있는 반제품·재공품, 원재료 등으로 나뉘는데 삼성전자는 이 중에서도 상품 재고 증가율(43.1%)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삼성전자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작년 말 4.5회에서 올해 6월 말 4.0회로 낮아졌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매출원가를 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이 보유한 재고자산을 판매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다.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매출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이 늘어난 것은 공급망 차질에 대비한 원재료 확보 움직임이 예년보다 적극적이었고, 이와 동시에 수요위축에 따라 TV와 스마트폰, 반
◆ 뉴욕 증시, 금리 인상 우려 일부 해소하며 상승 마감…나스닥 0.21%↑뉴욕 증시가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의지에 하락을 거듭하며 큰 변동성을 보이다 상승 마감했습니다.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8.72포인트 상승한 3만3999.04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70포인트 오른 4283.74로,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27.22포인트 상승한 1만2965.34로 장을 마감했습니다.미국 중앙은행은 전날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통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계속 인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이 여파에 뉴욕 증시는 하락 출발했습니다. 다만, 일부 당국자들이 3%대 금리 인상을 원하지 않는다는 발언을 내놓으며 시장의 우려를 덜었습니다.◆ 미국 경제 지표 혼조세…실업 줄었지만, 주택시장 냉각미국의 경제 지표가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5만건으로, 전주보다 2000건 줄어들며 3주 만에 감소세를 나타냈습니다. 시장 전망치인 26만건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8월 필라델피아 중앙은행 담당 지역 제조업 활동 지수도 6.2를 기록, 제조업 경기가 확장세로 전환했습니다.다만, 7월 주택매매 건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2%, 전월 대비 5.9% 감소한 481만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시장 전망치 486만건을 하회한 것은 물론,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습니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보다 0.4% 하락한 116.6에 그쳐 5개월 연속 내렸습니다.◆ OPEC 사무총장 "경기 침체 우려 과도하다"하이탐 알가이스 석유수출국기구(OPEC) 사무총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