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다음 번에는 가능하면 배달앱 말고 그냥 전화로 포장 주문해주실 수 있을까요. 2000원 더 싸게 해드릴게요"퇴근길 집 근처 치킨집에 배달 앱으로 주문해둔 포장 음식을 찾으려던 한 A씨(32)를 향해 사장 B씨는 어렵게 입을 열었다. B씨는 "손님들께 부탁드리기 좀 죄송하지만, 물가 상승에 각종 수수료까지 감당이 되질 않는다"며 "플랫폼 의존을 좀 줄이려고 한다. 전화 주문하시면 손님들께 낮은 가격으로 드릴 수 있고 저희는 각종 수수료 부담이 덜어서 손님과 제가 모두 경제적으로 이득"이라고 설명했다. '배달' 대신 '포장' 꺼내든 자영업자들코로나19 시국 매출에 톡톡히 도움이 됐던 배달이다. 그러나 최근 고물가 시대에 각종 배달료와 플랫폼 수수료 등 부담이 커지면서 배달 보다 포장 주문을 유도하는 외식업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그전까지는 포장주문에 금액 할인을 해주는 일이 드물었으나, 늘어나는 배달 및 플랫폼 수수료 등을 줄이기 위해 업체들이 자구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최근 영등포에서 피자 가게를 연 사장 C씨는 처음 개업 때부터 포장 주문을 노리며 영업을 한 결과,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전했다. 그는 "포장 주문 시 4000원 할인해주니 가격 면에서 손님들이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면서 "퇴근 길이나 저녁시간에는 포장해가려는 손님들이 줄을 설 정도다"라고 말했다.외식업은 이전부터 위기를 맞고 있던 터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지난 1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가 5개 분기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당시 보고서에서 김영갑 한양사이버대 호텔외식경영학과 교수
백화점 직원들에게도 생소한 2세대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가 급부상하고 있다.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대중성보다 마니아를 확보한 브랜드가 주목받는다. 갤러리아백화점은 지난달 압구종 본점 6층 명품관에 ‘떠그클럽’과 ‘언더마이카’ 등 2세대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의 팝업 스토어를 열어 3일 동안 각각 9000만원, 1억40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3일 만에 국내 패션 브랜드의 월매출을 뛰어넘은 셈이다. 대중보다 마니아층 공략25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넥스트 패션’의 자리를 노리는 매출 100억원 미만의 신진 스트리트 브랜드들 속속 나타나고 있다. SNS를 통한 팬덤 현상이 나타나면서 향후 성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커버낫과 디스이즈네버댓, 아크메드라비 등 1세대 캐주얼 스트리트 브랜드와는 다르다. 1세대는 3만~4만원대 티셔츠와 맨투맨 등 저렴한 의류를 판매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가슴에는 큼지막한 브랜드 로고를 부각해 정체성을 강조했다.반면 최근 새롭게 등장하는 언더마이카, 아더에러, 쿠어 등 2세대 스트리트패션 브랜드는 재킷 한 벌에 60만~70만원을 호가할 정도로 가격대가 높다. 고어텍스 등 고급 소재를 사용해 ‘테크웨어’, ‘고프코어’라는 이름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자극했다. 박진철 언더마이카 대표는 “‘남들과 똑같은 옷은 싫다’는 20~30대가 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며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팬덤이 있는 의류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이들 브랜드는 온라인으로 의류를 판매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다품종소량생산 방식을 따르는 만큼 ‘희소성’이 핵심
"아이 낳기 전에는 분유가 비싸 봐야 얼마나 비싸냐 싶었는데 먹이는 입장이 되어보니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멋모르고 대형마트에서 필요할 때마다 샀지만, 이제는 온라인 핫딜을 기다렸다가 삽니다."(8개월 아이의 아빠인 직장인 이모씨)물가가 천정부지로 올랐습니다. 집집마다 외식과 배달을 줄이는 등 식비 아끼기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아끼고 싶어도 못 아끼는 식비는 내 아이, 영아(0~2세)를 위한 분윳값일 겁니다. 그야말로 '먹고 살아야 하는 식비'의 대표적인 품목입니다. 하지만 분유 가격이 오르면서 할인을 받기 위해 가족이 총동원되기도 합니다.이씨가 아이에게 먹이는 분유는 국내 업체의 산양분유입니다. 한 통에 4만3000원이던 가격이 올해 초 4만9800원으로 올랐습니다. 올해 국내 분유 업체들이 제품을 리뉴얼하고 유통업체들도 할인을 줄였습니다. 돈을 아껴서 분유를 사려면 온라인 핫딜로 구매해야 합니다. 물론 제한은 있습니다. 1명이 최대 3통까지만 살 수 있습니다. 3통에 10만7100원입니다. 대형마트나 제조 업체 자사몰에서 3통을 14만9400원에 파는 것과 비교하면 약 30% 저렴한 가격입니다. 이씨 부부와 양가 부모님, 처제까지 7명이 쿠폰을 받아 분유 21통을 샀습니다. 이렇게 아낀 금액이 3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너무 오른 분윳값…처체까지 동원해 '분유 핫딜' 참전핫딜을 기다리다가 분유가 떨어져 어쩔 수 없이 비싼 값을 주고 사기도 합니다. 10개월 아이의 엄마인 백모씨(30)는 "핫딜로 샀던 수입 분유가 얼마 안 남았다"며 "이대로면 한 달 뒤에 분유가 떨어질 것 같은데 핫딜이 나오지 않고 있다보니 초조하다"고 토로했습니다.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