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불 붙은 가격 전쟁

이제 다시 가격이다. 이마트는 14년 만에 경쟁사보다 가격이 높으면 차액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최저가격 보상 적립제’를 내놨다. 롯데마트도 맞불 작전을 고려하고 있다.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유통업계가 업(業)의 본질인 가격 경쟁에 돌입했다는 평가다.
쿠팡보다 비싸면 차액 적립
이마트는 이마트앱에서 ‘최저가격 보장 적립제’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마트에서 판매하는 생활용품·가공식품 인기 품목 500개의 가격을 경쟁사와 비교한다. 동일 용량 기준으로 더 저렴한 곳이 있으면 차액을 이마트앱 포인트인 e머니로 돌려준다. 2007년 점포 상품이 반경 5km 안의 다른 대형마트보다 비싸면 보상해주는 최저가 보상제를 폐지한 후 14년 만이다.

이마트 제공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한 후 이마트앱에서 가격보상 신청 버튼만 누르면 된다. 한 명당 하루 최대 3000점의 e머니를 적립받을 수 있다. e머니는 이마트 오프라인 점포에서만 쓸 수 있다.
이마트는 지난해부터 신선식품 등 그로서리 경쟁력을 강화하는 점포 리뉴얼을 하고 있다. 마트에서 파는 제품과 서비스의 질을 끌어올렸으니 이제 가격에 투자한다는 전략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온라인에서 최저가 검색이 보편화되다 보니 마트에서 장을 보며 매번 가격을 검색하는 소비자들이 많다”며 “최저가가 아니면 보상할 테니 편하게 쇼핑하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GS리테일 제공
온라인몰·편의점도 최저가 참전
이마트의 최저가 보장제 부활을 선포한 후 경쟁사들은 대책회의에 들어갔다. 당장 롯데마트부터 이마트에 대항하는 내용의 행사를 내놓을 예정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쿠팡은 편리한 결제 시스템과 빠른 배송으로 인기를 끌지만 더이상 가격 할인은 하지 않는다”며 “그러나 소비자가 돈을 쓰기 전 마지막으로 확인하는 건 가격인 만큼 쿠팡의 경쟁사들은 최저가로 승부를 보겠다는 의미”라고 했다.

BGF리테일 제공
편의점 CU는 이날 3~4인 가구 용량의 채소 제품을 내놨다. 대파와 모듬쌈, 매운 고추와 깻잎 등 6종이다. 이달 말까지 20% 할인한다. 채소를 할인하는 건 CU 창사 이래 처음이다. CU에 따르면 할인가 기준으로 대형마트보다 가격이 최대 55% 저렴하다. CU 관계자는 “채소 유통 과정 구조를 줄여 마진을 낮췄다”며 “대형마트보다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췄으니 편의점에서 신선식품 장도 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