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각형으로 통일
10년내 자체생산 80%까지 확대
'300만대 분량' 유럽 6곳에 공장
파우치 주력 LG·SK 타격 우려
이 와중에 양사 분쟁은 더 격화
세계 자동차 판매 1위 폭스바겐이 ‘배터리 독립’을 선언했다. 한국 중국 일본에 편중된 지금의 배터리 공급망에 의존해서는 급팽창하는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에 이어 폭스바겐까지 배터리 자체생산 확대를 선언함에 따라 ‘K배터리’ 위상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와중에 LG와 SK는 배터리 기술 분쟁 해결은커녕 전선을 날로 확대하며 갈등을 키우고 있다.
폭스바겐, K배터리 의존도 줄인다
폭스바겐이 15일(현지시간) ‘파워 데이’란 행사에서 공개한 배터리 로드맵은 크게 세 가지다. 차종과 모델별로 각각 다른 배터리 유형을 ‘각형’으로 통일하고, 스웨덴 등 유럽에 6개 배터리 공장을 지어 전기차 300만 대에 탑재할 수 있는 연 240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 배터리 제조단가를 10년 내 최대 50% 낮추겠다고 공언했다. 모두가 한국 배터리 기업엔 부정적 영향을 주는 내용이란 평가다.
폭스바겐은 우선 각형의 ‘통합형 셀(Unified Cell)’을 개발해 2030년까지 자사 전기차의 80%에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각형은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강점을 보이는 분야다. 세계 1위 중국 CATL과 BYD가 각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한국 업체들의 주력은 파우치형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폭스바겐이 짓겠다는 배터리 공장도 K배터리엔 위협이다. 폭스바겐의 첫 번째 공장은 스웨덴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와의 합작을 통해 2023년 가동된다. 노스볼트는 전날 140억달러(약 16조원)어치 배터리 수주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폭스바겐은 중국에선 배터리 기업 궈쉬안, 미국 전고체 배터리 업체 퀀텀스페이스 등에 지분을 투자했다. 나머지 5개 배터리 공장도 이들 기업과 합작해 건설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한다.
폭스바겐이 배터리 가격을 최대 50% 낮추겠다고 밝힌 것도 악재다. 지금은 배터리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부족해 높은 가격에 구매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어떻게든 단가를 후려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폭스바겐 발표에 국내 배터리 기업 투자자들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1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모기업
(-7.76%), SK이노베이션(-5.69%), 삼성SDI(-0.87%) 등 ‘배터리 3사’의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끝 안 보이는 LG·SK 배터리 분쟁
폭스바겐에 앞서 테슬라도 작년 9월 배터리 독립을 선언했다. 2022년까지 배터리 공장을 짓고 2023년 ‘반값 전기차’를 내놓겠다고 공언했다.
완성차 업체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배터리 기업과의 힘겨루기에서 중장기적으로 밀리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자동차 배터리는 현재 ‘공급자 우위’ 시장이다.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간다.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단기적인 사활이 걸려 있다.
세계적 배터리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간 기술 분쟁도 영향을 미쳤다. 두 회사 간 싸움으로 폭스바겐은 실질적 타격을 입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SK 배터리에 대해 ‘미국 내 10년 수입금지’ 조치를 내리자 배터리를 공급받기로 한 폭스바겐은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 “수입금지 조치를 보류해 달라”고 미국 행정부에 요구했을 정도다.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독립이 속도를 내고 있는 와중에 배터리 분쟁은 더 격화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사실관계를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최근 5조원대 미국 투자 계획 발표와 조지아주 SK 공장 인수 가능성 언급 등을 들며 “분쟁의 목적이 SK를 미국에서 축출하고 LG의 독점적 지위를 구축하는 데 있음을 드러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시장 성장에 발맞춘 정당한 투자계획을 폄하하고 본질에서 벗어난 주장을 되풀이한다”고 반박했다.
테슬라가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 이어 한국에서도 3일 전기차 가격을 최대 14% 인하했다. 이에 따라 모든 트림(세부모델)의 가격이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한선인 8500만원 미만에 형성됐다. 환경부가 지난 2일 새로 공지한 전기차 보조금에 따르면 테슬라 전기차를 사면 260만원의 보조금을 받는다.테슬라는 홈페이지를 통해 모델 3 기본 트림 가격을 기존 6343만원에서 5990만원으로, 모델 3 퍼포먼스는 8817만원에서 7559만원으로 각각 5.6%, 14.3% 내렸다. 모델 Y 롱레인지는 8499만원에서 7789만원으로, 모델 Y 퍼포먼스는 9473만원에서 8269만원으로 각각 8.6%, 12.8% 인하했다.테슬라가 한국에서 전기차 가격을 가장 높게 책정한 것은 지난해 6~7월이다. 당시 모델 Y 퍼포먼스 가격은 1억473만원에 달했고, 가장 저가 모델인 모델 3 역시 7034만원에 판매했다. 그러나 금리 인상 등으로 수요가 위축되며 지난달 가격을 소폭 인하했고, 3일 추가로 판매가를 내린 것이다.테슬라는 연 초부터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차량 판매가를 종전보다 최대 20% 인하하는 등 가격 정책을 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맛 좋고 은신 용이해…삼척지역 농작물 피해 절반 이상 차지 멧돼지, 고라니 등 야생동물이 가장 좋아하는 농작물 무엇일까? 강원 삼척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야생동물로 말미암은 농작물 피해 75건에 대해 총 3천490만3천원의 피해보상금을 지급했다. 이중 가장 많은 피해보상금을 지급한 농작물은 옥수수였다. 옥수수는 전체 피해 건수에서 55%, 전체 보상금 액수에서 46%를 각각 차지했다. 이어 전체 피해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고구마 11%, 사과 9%, 벼 4% 등 순이었다. 삼척시는 야생동물로 말미암아 농작물 피해에 대해 최대 500만원까지 피해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올해 피해 보상 신청은 4월 1일부터 10월 말까지다. 삼척시 관계자는 3일 "옥수수는 넓은 재배면적에 비례해 피해 규모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수확을 앞둔 옥수수는 맛 좋고, 큰 키로 말미암아 은신에도 용이해 멧돼지의 집중 공략 대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가을심기보다 면역반응 조절 성분 더 높아 농촌진흥청은 3일 쌀귀리를 봄에 심어 재배했을 때 가을에 심는 것보다 씨알의 면역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한 연구에서 쌀귀리를 봄에 심었을 때가 가을에 심었을 때보다 씨알의 고기능성 항산화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약 2배, 계피산 등 페놀산 14종의 함량은 1.1∼4.8배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2022년에는 봄과 가을에 심은 쌀귀리 씨알 추출물의 면역 활성을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으로 평가했다. 실험 결과 암세포를 파괴하는 면역세포 엔케이(NK)세포의 활성이 가을에 심은 쌀귀리 추출물보다 봄에 심은 쌀귀리 추출물에서 13% 증가함을 확인했다. 동물실험에서는 실험용 쥐에게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물질과 봄에 심은 쌀귀리 추출물을 함께 투여했더니 면역세포의 기능을 지원하는 비장의 무게가 무처리에 비해 18% 회복됐다. 장재기 농진청 작물재배생리과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식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앞으로 쌀귀리 등숙 기온과 기능성 성분 증진 간 상관관계를 좀 더 면밀하게 밝혀 농가와 소비자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