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관련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 1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관련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타격을 입은 고용 부문이 아직 회복 국면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현대경제연구원은 현재의 경제 상황이 코로나19 경제 충격 이전 수준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나타내는 'HRI 코로나 위기극복지수'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먼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소매판매액지수, 수출출하지수, 취업자수, 산업생산지수 등 자료의 작년 1월 기준값을 100포인트(p)로 전환한 'HRI 수준지수'를 만들었다.

이어 이 통계청 지수들이 가장 큰 충격을 받았던 시점을 '0'으로 잡은 뒤, 100포인트였던 작년 1월 수준으로 얼마나 돌아갔는지를 다시 계산해 'HRI 코로나 위기극복지수'를 산출했다.

연구원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계산한 한국 경제 전체의 HRI 코로나 위기극복지수는 79.3포인트였따. 작년 5월을 한국 경제 전체가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시기로 봤을 때, 11월 기준으로 79.3%가 극복 또는 회복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이전의 경제 상황으로 돌아가려면 나머지 20.7%의 생산력 하락을 만회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연구원이 소비(내수), 수출, 고용, 산업생산 등 4개 부문에서 지수를 계산했더니 소비보다는 수출이, 산업생산에서는 서비스업보다 제조업이 각각 회복세가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 부문 위기극복지수는 163.7포인트로 코로나19 이전보다도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 부문 지수는 74.1포인트였다. 생산 부문에서는 제조업 위기극복지수가 99.3포인트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했지만, 서비스업은 77.9포인트로 상대적으로 회복세가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 부문 위기극복지수는 25.5포인트에 불과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의 4분의 1 정도밖에 회복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연구원은 "고용지표가 경기에 후행하는 특성이 있고, 코로나19 고용 충격이 도소매, 음식·숙박, 교육 서비스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 집중돼 고용 부문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더뎠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 내 취약 부문에 더욱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공 일자리 확충과 민간 일자리 감소 방지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아라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