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고위 임원이 18일 “노동조합의 파업이 계속되면 더 이상 한국GM에 투자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자동차업계에선 GM이 한국 철수 가능성을 사실상 공식화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스티브 키퍼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이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노사 갈등이 몇 주 내 해결되지 않으면 본사는 장기적으로 한국 사업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키퍼 사장은 미국과 중국 외 전 세계 국가의 GM 공장을 총괄하는 GM 본사 고위 임원이다.

그는 “GM은 노조 파업에 볼모로 잡혀 있는 모습”이라며 “이런 상황은 한국에 대한 추가 투자와 신차 배정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파업이 한국GM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며 “한국에 계속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잃었다”고 덧붙였다.

한국GM 노조는 기본급 인상 및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30일부터 부분파업을 반복하고 있다. 특근과 잔업도 거부해 지금까지 2만 대가량의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고 회사 측은 주장했다. 이는 한국GM이 약 3주간 생산하는 물량에 해당한다.

업계에선 GM이 한국 철수를 강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GM은 전기차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글로벌 사업장에 대한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구조조정의 강도가 더 세질 수 있다는 것이다.

美GM "한국 물량, 중국서 생산할 수도"

한국GM은 스티브 키퍼 GM 해외사업부문 사장 발언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지금까지 GM 본사 고위 임원이 한국 철수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거론한 적은 없었기 때문이다. 2018년 전북 군산공장을 폐쇄하고 산업은행에 신규 투자를 요청할 때도 GM 임원들은 “철수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키퍼 사장은 18일 “중국을 포함한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한국 물량을 생산하는 방안도 있다”고 말했다. 철수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발언이다.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도 최근 자동차업계 고위 관계자와 만나 “노조가 파업을 반복하면 GM 본사는 철수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업계는 한국GM이 최악의 위기 상황에 빠져 있다고 진단한다. 한국GM의 생산량은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올해 생산량은 30만 대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2011년(81만854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2014년부터는 해마다 적자를 내고 있다. 올해도 흑자전환은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2018년 GM과 산은은 10년간 한국GM에 약 4조7000억원을 투자하기로 약속했지만 회복 속도는 더디다. 올해 초 야심차게 내놓은 신차 트레일블레이저는 코로나19 확산에 노조 파업이라는 악재가 겹쳐 기대만큼 판매량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

올 하반기 들어 미국에서 트레일블레이저, 트랙스 등 한국GM이 생산한 차종이 인기를 끌었지만,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서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산은은 2018년 한국GM을 지원키로 하면서 GM의 철수를 막을 권리(비토권)를 확보했다. 그러나 상황이 악화되면 GM이 소송전과 손해배상 등을 감수하고 떠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GM은 2014년 같은 방식으로 호주에서 철수한 전력이 있다.

GM은 최근 몇 년 동안 미국과 캐나다, 인도, 태국 등 세계 각지의 공장을 폐쇄하거나 매각하고 있다. 몸집을 최대한 줄여 전기차 시대 준비에 주력하겠다는 전략이다. 업계 관계자는 “GM 본사는 이 와중에 임금을 올려 달라고 파업하는 한국GM 노조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1~2년 내 철수할 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병욱/이선아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