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대통령이 챙기는 사업
창사 후 최대규모 플랜트 따내
연내 말레이시아 1兆 추가 기대
삼성엔지니어링이 멕시코에서 4조5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따냈다. 1970년 창립 이후 단일 수주 기준으로 최대 금액 기록을 세웠다.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법인은 지난 28일 멕시코 국영석유회사 페멕스의 자회사를 통해 ‘도스보카스 정유 프로젝트’의 설계·조달·시공(EPC)을 수주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동쪽으로 320㎞ 떨어진 타바스코주 도스보카스 지역에 하루 34만 배럴의 원유정제설비를 건설하는 것이 핵심이다. 멕시코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핵심 국가사업이기도 하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총 6개 패키지 중 2개(디젤 탈황 설비, 중질유 촉매분해 설비)의 EPC를 맡기로 했다.
이번에 수주한 EPC는 4조1000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이 지난해부터 수행 중인 기본설계(FEED) 및 초기업무 사업까지 합하면 수주금액은 4조5000억원으로 늘어난다. 회사 관계자는 “수주에 앞서 FEED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페멕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은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해 이 프로젝트의 기본설계를 맡아 상세설계, 주요 기기 발주, 현장 기초공사 등을 진행했다.
신규 수주에 힘입어 삼성엔지니어링의 수주잔액은 16조원으로 늘었다. 앞으로 2년5개월간 추가 수주 없이도 지난해 수준의 연간 매출(6조4000억원)을 안정적으로 낼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연내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의 메탄올 프로젝트 EPC(약 1조1300억원)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
프로젝트 발주처인 페멕스는 삼성엔지니어링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0년부터 총 6개 프로젝트를 삼성엔지니어링에 맡겼다. 이번 사업도 페멕스와 OBCE(공동 견적 산출) 방식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4조5000억원이라는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주해서다.30일 오후 12시37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엔지니어링은 전날보다 2300원(22.12%) 상승한 1만2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상한가에 가까운 1만3100원까지 상승한 삼성엔지니어링은 상승폭을 일부 반납한 상태다.멕시코에서 초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한 것이 주가 상승의 트리거(방아쇠)로 작용했다.삼성엔지니어링은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 법인이 지난 28일(현지시간) 멕시코 국영석유회사인 페멕스(PEMEX)의 자회사 PTI-ID로부터 '도스보카스 정유 프로젝트' 패키지 2, 3의 EPC(설계·조달·시공) 2단계에 대한 수주 통보서를 접수했다고 이날 공시했다.삼성엔지니어링은 6개의 패키지 가운데 2번 패키지(디젤 수첨 탈황설비 등 4개 유닛)와 3번 패키지(중질유 촉매분해공정 설비)의 EPC를 맡는다. 공사 기간은 39개월이다.수주 금액은 4조1000억원(36억5000만달러)이다. 지난해부터 삼성엔지니어링이 수행하는 기본설계(FEED)와 초기업무(Early Work) 금액까지 합하면 총 수주 금액은 4조5000억원(39억4000만달러)에 달한다. 이는 단일 프로젝트로는 창사 이래 최대라는 설명이다.이번 수주로 삼성엔지니어링의 수주 잔고는 약 16조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6조4000억원) 기준 약 2년4개월 치의 일감에 해당하는 것으로, 2014년 1분기 말 이후 최대다.멕시코 동부 타바스코주(州) 도스 보카스(Dos Bocas) 지역에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하루 34만 배럴의 원유생산설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원유생산국임에도 정제시설 부족으로 석유를 수입하는 멕시코에서 국가적인 이목이 쏠려있다.이송렬 기자 yisr0203@hankyung.com
삼성엔지니어링이 멕시코에서 4조5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1970년 창립 이후 최대 수주금액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의 멕시코 법인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멕시코 국영석유회사 '페멕스'의 자회사를 통해 '도스보카스 정유 프로젝트'의 설계·조달·시공(EPC)을 수주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동쪽으로 320km 떨어진 타바스코주 도스보카스 지역에 하루 34만배럴의 원유정제설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핵심 국가사업이기도 하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총 6개 패키지 중 2개(디젤 탈황 설비·중질유 촉매분해 설비)의 EPC를 맡기로 했다.이번에 수주한 EPC는 약 4조1000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이 지난해부터 이미 수행 중인 기본설계(FEED) 및 초기업무 사업까지 합하면 수주금액은 총 4조5000억원에 달한다. 회사 관계자는 "단일 프로젝트로는 창사 이래 최대 규모"라며 "수주에 앞서 기본설계(FEED)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페멕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은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해 이 프로젝트의 기본설계를 맡아 상세설계, 주요기기 발주, 현장 기초공사 등을 진행했다.이로써 삼성엔지니어링의 향후 실적도 안정화할 전망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합하면 삼성엔지니어링의 수주잔고는 16조원으로 늘어난다. 향후 2년5개월간 추가 수주 없이도 지난해 수준의 연간 매출(6조4000억원)을 안정적으로 낼 수 있는 규모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연내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의 메탄올 프로젝트 EPC(약 1조1300억원)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석유기업인 페멕스와의 협력 관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2000년 페멕스의 프로젝트를 첫 수주한 이후 20년간 6개의 프로젝트를 맡았다. 총 5조500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EPC도 페멕스와 OBCE(공동 견적 산출) 방식으로 진행할 방침이다.회사 관계자는 "지금껏 쌓아온 정유 프로젝트 기술력과 멕시코 시장에서의 경험을 살려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위니아전자가 멕시코 블랙 프라이데이라 불리는 '부엔핀' 특수와 함께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멕시코 현지에서 전자레인지 21만대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27일 밝혔다.위니아전자에 따르면 대유위니아 그룹 해외 가전 브랜드 '위니아'는 부엔핀 기간을 전후로 하는 오는 12월까지 월마트 코펠 등 현지 대형마트을 비롯한 주요 유통 채널을 통해 21만대를 공급한다.위니아전자 관계자는 "지난해 6월 멕시코 현지 전자레인지 시장점유율 59%를 달성한 이후 1등 브랜드로 시장을 이끌어 왔다"며 "지난달 기준 올해 누적 점유율 또한 57% 내외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 9월 한 달은 70% 이상을 장악했다"고 말했다.위니아전자는 글로벌 및 현지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로 '철저한 현지화'를 꼽았다. 위니아전자의 전자레인지 '셰프 멕시코'는 멕시코 대표 음식인 또르띠아와 피카디요 등 전통 요리 조리에 최적화됐다는 평을 받는다.또한 31개의 지역 특화 레시피 기능인 ‘셰프 멕시코 31’, 자동 조리 기능인 ‘오토쿡’ 등도 갖췄다. 위니아는 셰프 멕시코와 함께 그릴 기능 주력 제품과 상업용 제품까지, 총 22개의 전자레인지 라인업을 총망라해 공급할 예정이다.장세훈 위니아전자 멕시코 총괄법인장은 "철저한 시장 조사와 꾸준한 기술 개발로 이룩한 현지화 제품으로 시장 1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며 "중남미 대표 시장인 멕시코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인 위니아의 명성을 드높이겠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남미 전역까지 점유율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