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구조 변화, 소비 둔화 등으로 성장이 정체된 식품업계가 새 시장을 발굴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게 크라우드펀딩이다. 주력 소비층인 2030, 미래 소비자인 10대들의 ‘입맛’을 파악하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실험적 제품을 올리고, 여기서 좋은 반응을 얻은 것을 상품화한다. 어떤 품목보다 소비자 접점이 넓은 식품의 특성상 마케터들도 소비자의 미세한 취향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식품기업의 크라우드펀딩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비싸도 질 좋으면…7일 펀딩 플랫폼 와디즈는 2021년 9월~2022년 12월 진행된 푸드 펀딩을 분석해 이 기간의 키워드를 △프리미엄 △희소성 △자기관리로 압축했다. 비싸더라도 질 좋은 제품,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제품, 자기관리에 도움을 주는 제품에 소비자들이 선뜻 지갑을 열었다는 게 와디즈의 분석이다.조사 기간에 많은 금액을 모은 제품은 비플의 프리미엄 딸기 킹스베리였다. 2021년 10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이어진 펀딩 기간에 1억6000만원을 모았다.이 딸기는 충남농업기술원이 10년간 연구 끝에 2016년 개발한 품종이다. 크기가 성인 손만 하며 일반 딸기보다 당도가 높다. 정상가 기준 900g에 5만5000원으로, 일반 딸기의 두 배 가격인데도 완판됐다.18세기 유럽 왕실의 공식 초콜릿으로 알려진 마야니 초콜릿(모집금액 1억1000만원),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가장 좋아했다는 샤르보넬워커 초콜릿(8000만원), 프랑스 대표 초콜릿 라메종뒤 쇼콜라(7000만원)도 유럽의 프리미엄 이미지가 씌워져 소비자의 관심을 받았다. 건강·참신함 추구하는 MZ세대건강하고, 참신한 제품들도 이목을 끌었다. 작년 11월 29일부터 12월 19일까지 펀딩
지난해부터 외식 물가가 치솟으면서 간편식 시장이 급성장하는 건 세계적 흐름이다. 한국은 편의점 도시락이 대표적인 품목이다. 직장인을 중심으로 간단히 끼니를 때우려는 사람이 늘면서 1조원대로 추산되는 이 시장을 놓고 편의점들이 격전을 벌이고 있다.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내세워 큰 인기를 끌었던 ‘김혜자 도시락’을 이달 중순께 재출시할 예정이라고 7일 발표했다. 2017년 단종 이후 6년 만이다.김혜자 도시락은 GS25가 2010년 선보였다. 당시만 해도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김밥과 도시락은 ‘싼 게 비지떡’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김혜자 도시락은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 가격으로 이런 편견을 깼다는 평가를 받는다.김혜자 도시락이 큰 인기를 끌면서 인터넷에선 ‘혜자롭다’라는 신조어가 생기기도 했다. ‘김혜자 도시락처럼 가성비가 좋다’는 의미다. 40여 종의 김혜자 도시락은 7년간 누적 매출이 1조원에 달했다. 하지만 김혜자 씨가 “연기에 집중하고 싶다”는 의사를 GS25에 전하면서 단종됐다.GS25가 6년 만에 김혜자 도시락을 다시 선보이게 된 건 편의점 간편식 시장을 둘러싼 경쟁에서 확실한 승기를 잡기 위해서다. GS25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락 매출은 전년 대비 41.2% 급증했다.김혜자 씨를 다시 도시락 모델로 내세우기 위해 설득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GS25 입장에선 경쟁사를 압도하기 위해 ‘가성비의 상징’과 같은 김혜자 씨가 마케팅에 꼭 필요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김혜자 도시락을 다시 출시해달라는 소비자 요청이 지속해서 들어왔다”며 “삼고초려 끝에 어렵게 설득했다&rdq
코로나19가 수그러들고 하늘길이 열리면서 백화점에 외국인 관광객이 돌아오고 있다.갤러리아백화점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간 서울 압구정동 갤러리아 명품관의 외국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00% 이상 늘었다고 발표했다. 갤러리아 명품관은 국내 백화점 중 롯데백화점 본점 다음으로 외국인 매출이 많은 곳이다. 한국에서 쇼핑을 즐기는 외국인 관광객 사이에선 꼭 들러야 할 매장으로 꼽힌다.코로나19 확산 전 갤러리아 명품관 매출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5%를 넘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창궐 이후 하늘길이 막히면서 외국인 매출 비중이 1% 아래로 떨어진 때도 있었다.상황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바뀌었다. 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다시 들어오기 시작하면서다. 최근 6개월간 외국인 매출 비중은 5%로 다시 늘어났다. 외국인 쇼핑객의 국적은 중국 동남아시아 미국 일본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 품목은 명품이 압도적으로 많았다.서울 여의도에 있는 더현대서울도 신흥 외국인 쇼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같은 기간 더현대서울의 외국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배 이상 늘었다. 외국인 1인당 구매액(객단가)은 26.3% 증가했다.박종관 기자